교육국제화특구 '나 몰라라'…전북은 신청조차 안 해

교과부, 여수·인천·대구에 4개 특구 지정…'최상 교육 여건 조성 말뿐' 道·교육청 지역발전 역행

정부가 전국을 상대로 국제화된 전문인력을 양성하고 지역균형발전을 위한 교육국제화특구 공모 절차에 나섰으나 도내에서는 아예 신청조차 하지 않은 것으로 드러났다.

 

도내 자치단체와 교육기관들은 그동안 최상의 교육여건이 기업유치와 인구유치의 필수 요건이라고 요구해왔음에도 불구, 공모 사실조차 몰랐던 것으로 전해져 빈축을 사고 있다.

 

최근 교육과학기술부는 교육국제화특구와 관련해 전국 자치단체들을 대상으로 한 공모절차를 거쳐 신청지역인 전남 여수시와 인천 연수구, 인천 서구·계양구, 대구시 등 3개 시·도, 4개 지역을 모두 대상지로 지정했다.

 

'교육국제화특구 지정 운영 및 육성에 관한 특별법'에 따라 교육국제화특구 공모에 나선 교과부는 희망지역이 많지 않자 신청지역을 모두 지정한 것으로 전해졌다.

 

그러나 전북도와 전북도교육청 등 도내 관계 기관에서는 교육국제화특구와 관련해 아예 신청조차 하지 않아 지역발전에 역행한다는 비난을 자초하게 됐다.

 

교육특구는 초·중등학교의 교과과정과 학사운영에 대한 자율권 부여 등 규제완화, 국제화교육 인프라 구축, 국제화 교육사업을 위한 정부의 행·재정적 지원 등이 뒤따른다.

 

또한 특구지역의 현실과 특화 분야에 맞는 교육분야를 집중 지원함으로써 해당 지역 교육분야의 특화발전과 지역경제 활성화를 가져올 것으로 기대되기 때문이다.

 

대표적으로 대구에서는 이번 특구지정으로 향후 5년간(2013∼2017년) 1242억원이 투입돼 옛 '교육도시'로의 명성을 되찾고 국제 교육도시로 발돋움하기 위한 사업들이 펼쳐진다.

 

뿐만 아니다. 교육국제화특구는 낙후된 교육여건으로 인해 대규모 투자유치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전북지역의 새로운 돌파구가 될 것으로 기대를 모으고 있다.

 

실제 수년째 투자유치에 실패하고 있는 새만금의 경우 국내외 투자자들이 하나같이 국제공항과 함께 외국인 학교 등 최상의 교육여건을 최우선 과제로 제시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이는 전북도가 지난해 전북혁신도시 이전기관 임직원들을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에서 정주요건으로 우수교육환경(20.5%)를 요구한 응답자가 두 번째 많다는 것도 뒷받침한다.

 

그럼에도 불구, 도내 관계기관들이 지역 교육환경과 투자여건 등을 한단계 업그레이드 시킬 수 있는 기회를 스스로 날려버림으로써 지역사회의 강한 비난과 반발을 사게 됐다.

 

도교육청 관계자는 "교육국제화특구 추진과 관련된 사업은 도교육청이 아니라 전북도 등 지자체에서 신청하고, 도교육청이 협조하는 것으로 알고 있다"라고 해명했다.

 

도 관계자는 "교육문제는 주로 교육기관에서 다루기 때문에 교육과학기술부가 교육국제화특구 사업을 추진하는지, 이를 신청 받고 있는지 등을 잘 모르고 있었다"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