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내 주요 대학에서 도중에 학업을 중단한 학생의 절반 가까이는 이공계생인 것으로 나타나 이들에 대한 지원대책이 시급하다는 지적이다.
8일 국회 교육과학기술위원회 이상민 의원(민주통합당)이 교육과학기술부에서 받은 국감자료 '2009~2011년 국립대학 이공계 자퇴생 현황'에 따르면 전북대는 최근 3년간 전체 자퇴생 중 이공계생 비율이 65.1%(680명)로 도내에서 가장 높았다.
이어 군산대 58.7%(582명),원광대 42.8%(716명), 우석대 37.3%(314명), 호원대 36.9%(237명), 전주대 36.8%(237명) 등의 순이다.
전북대와 군산대는 전체 자퇴생 10명 중 6명은 이공계생인 셈.
이처럼 이공계생들의 자퇴 비율이 높은 것은 이들의 졸업후 진로가 불투명하기 때문.
실제로 국내 박사후 연구원의 50% 이상이 5년 넘도록 정규직에 취업하지 못하고 있다. 어렵게 취업 관문을 뚫더라도 비정규직 신분인 것.
이상민 의원은 "과학기술에 대한 비전을 높이고, 이공계에 대한 특단의 정부지원이 절실하다"라며 "등록금 인하, 장학금 수혜율 제고 등 실질적 혜택을 주는 방안이 시급하다"고 말했다.
한편 같은 기간 전국 국립대의 이공계생 자퇴 비율은 66.2%이며, 사립대의 경우 35.7%로 집계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