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쓰리 디멘션'보다 '3차원'이 좋아요

△ 쓰리 디멘션

 

국립국어원에서는 '쓰리 디멘션'을 '3차원'으로 순화하고 널리 사용할 것을 권장하고 있다. '쓰리 디멘션(Three Dimensions / Three Dimensional)'은 상하, 좌우, 전후 등 세 방향으로 퍼져 있는 공간을 세 개의 실수로 나타낼 수 있음을 이르는 말이다.

 

△ 3차원

 

'3차원'에서 '차원(dimension)'이란 '수학에서 기하학적 도형이나 물체 및 공간 안의 점을 인정하는 데 필요한 독립 좌표를 나타내는 수'를 말한다. 직선 위의 점은 적당한 좌표계를 정하면 하나의 실수 x로 표시되고, 평면 위의 점은 2개의 실수의 짝(x,y)으로, 공간의 점은 3개의 실수의 짝(x,y,z)으로 각각 표시된다. 이때 직선은 일차원, 평면은 이차원, 보통의 공간은 삼차원이라 한다.

 

'쓰리 디멘션'이 사용되는 말을 살펴보면, '그가 만든 쓰리 디멘션 미로 게임은 가상현실기법이 사용되어 꽤 재미가 있었다.'거나 '미래에는 쓰리 디멘션의 가상현실도 입체 영상으로 볼 수 있게 될 것이다.' 또는 '원근법은 기하학을 바탕으로 한 방법으로 쓰리 디멘션의 공간을 평면에 옮길 수 있게 해 준다.'와 같다.

 

위 문장은 '3차원'이라는 순화어를 사용하여 '그가 만든 삼차원 미로 게임은 가상현실기법이 사용되어 꽤 재미가 있었다.'거나 '미래에는 삼차원의 가상현실도 입체 영상으로 볼 수 있게 될 것이다.' 또는 '원근법은 기하학을 바탕으로 한 방법으로 삼차원의 공간을 평면에 옮길 수 있게 해 준다.'와 같이 고칠 수 있다.

 

△ 입체

 

'삼차원'은 복합어로 많이 쓰인다. '삼차원 영화'는 '삼차원적 시각적 환영을 제공하는 영화나 영화 기법'을 가리키는 복합어다. '삼차원 회로 소자'는 '평면적으로 만들어져 있는 초고밀도 집적 회로를 입체적으로 쌓아올려 집적도를 높인 회로'를 말하는 복합어다.

 

△ 이렇게 쓰세요

 

두뇌발달을 위해 3차원 입체 교구가 사용되었다.

 

3차원 인간의 얼굴은 그리기가 어렵다.

 

신라 왕궁이 3차원 영상으로 복원되었다.

 

전주대 교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