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위험 하우스푸어 10만가구

집값 하락 등으로 주택담보대출의 원리금 상환에 고통받는'고위험 하우스푸어'가 약 10만가구로 분석됐다.

 

소득의 60% 이상을 원리금 상환에 써야 하는 '잠재적 하우스푸어'는 57만가구로 파악됐다. 이들이 갚아야 하는 빚은 각각 48조원과 150조원이다. 집값이 20% 내리면 고위험 하우스푸어는 최대 5만가구 더 늘어난다.

 

금융연구원은 30일 금융위원회와 함께 '가계부채의 미시구조 분석 및 해법'을 주제로 세미나를 열어 이 같은 분석 결과를 발표했다.

 

주택담보대출의 원리금상환비율(DSRㆍDebt Service Ratio)이 60%를 넘는 '잠재적 위험가구'는 현재 56만9천가구다. 이들의 금융권 대출은 149조5천억원이다.

 

이들 가운데 부동산ㆍ금융자산을 모두 팔아도 대출금을 못 갚거나 부동산 평가액의 40%만 건지는 '고위험가구'는 최대 10만1천가구, 대출금은 47조5천억원이다.

 

DSR은 원리금 상환액을 소득으로 나눈 비율이다. 정확한 용어 정의는 없지만 고위험가구를 하우스푸어로, 잠재적 위험가구를 잠재적 하우스푸어로 부를 수 있다.

 

이들은 연령별로 40~50대(35만2천가구), 직업별로 자영업자(26만1천가구), 지역별로 수도권 거주자(33만9천가구)가 많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