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립국어원에서는 '룰'을 '규정'으로 순화하고 널리 사용할 것을 권장하고 있다. '룰(rule)'은 '경기나 놀이 등에서 지키기로 되어 있는 규칙'을 일컫는 영어 단어이다. '룰(rule)'은 일반적으로 운동 경기에서 많이 사용된다. 예를 들면 '반칙 행위를 한 선수는 룰에 따라 제재를 받게 되어 있다.'거나 '삼십 초 룰을 어겨서 상대편으로 공이 넘어갔다.' 또는 '마치 운동 경기처럼 이 세상을 살아가는 데에도 일정한 룰이 있다.'와 같이 '룰(rule)'이라는 영어 단어가 우리말과 섞여 쓰이고 있다.
△ 규정
'룰(rule)'의 순화어인 '규정'은 '~하기로 정하여 둠'이라는 뜻이다. 예를 들면 '규정'은, '우리 헌법에는 공무원의 정치적 중립을 보장하는 규정이 있다.'거나 '철수는 학교 규정에 따라 정학 처분을 받았다.' 또는 '경선 규정은 무엇보다도 공평해야 한다.'와 같이 쓰인다.
흔히 '규정'이라는 말은, '단속규정' 또는 '사무규정'처럼 '일정한 목적을 위하여 정해진 명령 조항'이라는 뜻으로 많이 쓰인다. 또, '예술은 한마디로 규정짓기 어렵다.'거나 '일상에서 사용하는 말 중에도 개념 규정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은 것이 있다.' 등의 문장에서 보이는 것처럼 '규정'은 '어떤 것의 성격, 내용, 의미 등을 밝혀 그것을 규칙으로 정해 놓은 것'을 일컫는데 쓰이기도 한다.
△ 규칙
'규정'과 비슷한 말에는 '규칙', '규제' 등이 있다. '규칙'은 '다 함께 지키기로 정한 사항이나 법칙'을 가리키는 말로, '예외 없는 규칙은 없다.'거나 '야구는 규칙을 알고 보면 더 재미있게 관람할 수 있다.' 또는 '아이들이 자발적으로 규칙을 지키게 해야 한다.' 등의 문장을 예로 들 수 있다. 한편 '규제'는 '수입 규제', '법적 규제'에서 보이는 것처럼 '규칙이나 법령 따위로 일정한 한도를 정하여 그 이상을 넘지 못하도록 제한'하는 의미로 쓰인다.
△ 이렇게 쓰세요
- 짜고 치는 고스톱도 규정을 지켜야 한다.
- 단일화를 위한 규정을 정해야 한다.
- 골프 규정을 알기 쉽게 정리한 책이 나왔다. 전주대 교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