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히 농업통 의원답게 농정에 대한 날카로운 분석을 토대로 한 질문으로 잘못된 행정을 지적하고 미흡한점에 대한 정책적 대안을 제시하는등 오랜 공직 생활과 재선으로 쌓은 관록이 돋보였다.
지난달 21일부터 열린 부안군의회 행정사무감사에서 군수와 실·과 ·소장을 상대로 부안군의 역점시책인 농어가 소득 5000만원 이상 5000호 육성프로젝트의 방향 설정의 문제점을 지적하며 소득 규모가 적은 소규모 농가들이 역차별을 받을 우려가 있어 수도작 위주의 정책을 탈피 축산등 복합영농을 대안으로 제시했다.
지난 5일 군정질문에서는 "내년에는 지역경제 살리기에 초점을 둔 행정력 집중을 통해 농업 소득 개발에 전념해야 한다"면서 "친환경 농산물을 안정적으로 생산적하고 소비자로부터 신뢰를 얻어야 한다"며 유통 시스템인 '생협'의 필요성을 설명했다.
특히 "생협은 농민이 생산한 농산물을 소비자에게 직접 전달하는 수직 계열화가 가능해 생산자와 소비자가 상생할수 있는 유통시스템 구축"을 주문했다.
또한 "현제 시행 중인 보조사업 선정기준이 상환금의 부담 능력에만 의존하고 있고 지원부서및 생산부서의 이원화로 사후관리가 제대로 이루어 지지 않고 있다"고 지적한뒤 "해당 농업인의 기술·노하우·희망·자원·교육이수·토지적합성 등을 고려해 보조사업을 선정해야 한다"고 대안을 제시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