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교저축은행은 부실경영으로 영업정지를 당한 저축은행을 예보가 인수해 직접 관리하는 저축은행으로 도내에는 전주에 본점을 두고 있는 예나래저축은행과 군산에 본점을 두고 있는 예쓰저축은행이 있다.
예쓰저축은행의 경우 예보가 지난 2009년 옛 전북, 으뜸, 전주, 보해저축은행의 자산 및 부채를 계약이전 받아 설립한 가교저축은행으로 2010년부터 최근까지 총 6번이나 공개경쟁입찰 공고를 냈지만 모두 매각에 실패했다.
특히 지난 5월 도내 기업인 삼호산업이 우선협상대상자로 선정됐지만 금융위원회의 승인을 받지 못해 유찰됐고 지난달 말 또 다시 매각을 진행한 결과 예비입찰제안서를 제출한 곳이 1곳에 그쳐 공개경쟁입찰 요건을 갖추지 못하면서 6번에 걸친 매각이 모두 무산됐다.
예쓰저축은행은 예보가 가교은행으로 설립한 뒤 완전 자본잠식상태에서는 벗어났지만 자본잠식률이 66.9%에 달해 여전히 자본 건전성에 문제를 안고 있으며 가교저축은행 특성상 경영보다는 매각에 초점에 맞춰지면서 경영 정상화에 적지않은 자금과 시일이 필요하다는 점에서 적극적으로 인수를 추진하는 곳이 없는 실정이다.
또 저축은행 매물이 많다는 점도 매각에 걸림돌로 작용하고 있다.
예나래저축은행도 사정은 마찬가지다.
예나래는 예보가 지난 2009년말 영업정지된 전일저축은행과 대전저축은행의 우량자산을 인수해 설립한 가교저축은행으로 지난해 4월 2번째 공개매각이 무산된 뒤 아직까지 인수자를 찾지 못하고 있다.
예나래는 영업점(21개)과 자산(5891억원·6월말 기준) 규모에 있어 예쓰(10개·3894억원)에 비해 많지만 예쓰와 영업기반이 겹치고 당기순이익(2011회계년도 3분기 기준·2011년 7월∼2012년 6월)이 22억원의 적자를 기록하는 등 영업실적도 좋지 않아 관심을 끌지 못하고 있다.
이에 예보는 한주저축은행을 묶어 지난 9월 재매각을 추진할 계획이었으나 영업기반이 겹치고 영업점 수와 자산이 상대적으로 적은 예쓰를 우선 매각한다는 방침 아래 유보한 바 있다.
예보는 당초 연내 예쓰를 우선 매각한 뒤 예나래 매각을 추진할 계획이었으나 예쓰 매각이 실패로 돌아가면서 전면 수정이 불가피해졌다.
하지만 저축은행의 추가적인 구조조정이 예상되면서 매물이 더 나올 것으로 예상되면서 이들 도내 가교저축은행들의 매각은 더욱 어려워질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