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내 주요 대학들이 올해 등록금을 동결하는 쪽으로 검토하고 있는 가운데 인하를 요구하는 총학생회측과의 입장차이를 보이고 있다.
도내 대학들은 대부분 이번주 또는 다음주 중 등록금심의위원회를 구성, 논의를 거쳐 이달 하순이나 늦어도 2월 초에는 등록금을 결정할 예정이다.
이런 가운데 도내 주요 대학들은 동결에 무게 중심을 두고, 여론의 추이를 관망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지난해 전북대와 군산대 등 국립대는 등록금을 각각 5.5%, 5.4% 인하했다.
하지만 올해는 갈수록 어려워지는 재정 여건상 동결하는 방안을 두고 논의를 거듭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상대적으로 인하폭이 컸던 우석대(5.0%), 원광대(5.7%), 전주대(6.1%) 등 사립대는 더 이상 인하할 여력이 없다는 입장이다.
실제로 군산대와 우석대는 내부심의를 통해 등록금을 동결하는 것으로 입장을 정리했다.
전북대와 원광대, 전주대는 동결이나 소폭 인상·인하 등 다양한 방안을 놓고 고심 중이다.
해당 대학들은 등록금 인상안을 제시하고 싶은 속내에도 불구하고, 등록금 인하가 대세가 된 현실에'속앓이'만 하고 있다.
정부는 등록금을 인상할 시 국가장학금 등 각종 지원에서 불이익을 준다며 압박하고 있다. 재정의 절반 이상을 국고출연금으로 충당하는 국립대와 각종 정부 지표를 통해 통제를 받고 있는 사립대는 이런 현실에서 자유롭지 못하다.
한 사립대 관계자는 "매년 인건비와 각종 운영비 등 고정비용의 증가가 학교 재정을 압박하고 있다"면서 "등록금 인상이 꼭 필요하지만, 정부의 입장이 너무 강해 인상은 꿈도 꾸지 못한다"고 말했다.
반면에 학생들은 박근혜 당선인이'반값등록금'실현을 약속했기 때문에 올해도 등록금이 인하돼야 한다고 주장하고 있다.
각 대학 총학생회는 등록금 인하에 대한 여론 환기를 위해 홍보물 배포 활동, 학생 대상 설문조사 등 다양한 활동을 펼치고 있다.
한 대학 총학생회 회장은 "대학이 동결 방침을 정했다고 해서 무조건 따르지는 않을 것"이라며 "학생들이 누려야 할 혜택이 줄어들지 않는 선에서 등록금 인하를 관철시키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