혁신학교 모델 일반학교로 확대

도교육청, 거점학교 육성·초중고 연계화 등 추진…학교당 수 천만원 지원…소요예산 마련이 관건

도내 혁신학교 운영 모델이 모든 학교로 확산된다. 전북도교육청은 18일 혁신학교운영위원회를 열고 이 같은 내용을 뼈대로 한 올해 사업계획을 확정했다고 22일 밝혔다.

 

그러나 혁신학교에 소요되는 예산마련이 여의치 않은데다 일부 학교들은 적절한 커리큘럼 마련에 애로를 겪고 있어 이에대한 심도있는 검토가 요구된다는 지적이다.

 

도교육청은 혁신학교의 만족도를 높이는 한편 혁신학교 운영모델을 일반학교로 확산하기 위해 △거점학교 운영 △초·중·고 연계화 △학술대회 개최 △ 신규 혁신학교 컨설팅 강화 등의 전략을 내놨다.

 

우선 서북부권(군산, 익산), 동북부권(무주, 진안, 장수), 서남부권(김제, 부안, 정읍, 고창), 동남부권(임실, 순창, 남원), 중심권(전주, 완주) 등 5개 권역의 15개교를 거점학교로 지정, 일반학교에 혁신사례를 전수한다.

 

전주, 정읍, 완주, 진안, 임실 등 5개 지역 혁신학교를 대상으로 초·중·고 벨트화전략도 추진할 계획이다.

 

또한 지역교육지원청의 역할을 강화해 혁신학교 추진단과 혁신학교 컨설팅단을 운영, 각 초·중·고교에서 혁신학교 운영모델을 공유할 수 있도록 한다.

 

아울러 지난해 첫 실시한 호남권 혁신학교 세미나를 올해도 열어 호남권과의 협력을 강화한다.

 

이에 대학이 참여하는 공동세미나, 학술대회, 워크숍 등을 열어 혁신학교의 경험과 사례 공유에 적극 나설 계획이다.

 

올해 신규지정된 34개 혁신학교와 16개 씨앗학교에 대한 순차적 집중 컨설팅을 통해 이들 학교의 안착화에도 집중한다.

 

씨앗학교의 경우 혁신학년의 운영을 통해 혁신학교의 토대를 구축하고 오는 9월 20개 혁신학교를 공개모집, 내년까지 모두 100개의 혁신학교를 운영할 예정이다.

 

이와 함께 지난해 제정된 혁신학교 운영조례 개정을 통해 혁신학교 예산 지원 구체화 및 지정기간 3→4년 연장 등을 명시화해 원활한 혁신학교 운영을 위한 제도적 뒷받침에 나설 계획이다.

 

하지만 일각에서는 그동안 혁신학교 예산 편중 지원 문제를 지속적으로 거론한 교육위가 조례 개정에 적극적으로 나설 것인지에 대해 의문을 나타내고 있다.

 

또 혁신학교에 선정되거나 준비하고 있는 일선 학교들 가운데는 이 제도를 제대로 활용하지 못하는 경우도 나타나고 있어 확대정책보다는 안정적 운영이 요구된다는 지적이다.

 

한 학교에 수천만원이 넘는 예산지원을 위한 재원마련도 쉽지 않을 것이라는 분석도 나온다.

 

이에 대해 박일관 도교육청 장학사는 "혁신학교 안착화를 위한 하나의 방안으로 조례 개정을 희망하고 있다"며 "현재의 시스템으로도 조례 개정없이 충분히 혁신학교를 운영할 수 있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