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자리 한계 극복, 인프라 구축 선행돼야" 전북고용포럼 전국 최우수 이끈 송영남 회장

지역 노동시장 현안·이슈 매년 포럼서 해결책 논의

"전북의 일자리 창출 노력이 상당한 결실을 거두고 있습니다. 기업유치 노력의 효과가 나타나고 있는 것 같습니다"

 

전북고용포럼을 5년째 이끌면서 2012년 전국 최우수 포럼으로 평가받은 송영남 회장(58·전북대 교수)은 도내 상용직 비율이 2009년 28% 수준에서 2011년 35%로 크게 향상됐다며 이같이 말했다.

 

송 회장은 "특히 전북도의 일자리 창출사업은 이제 '양'보다는 '질'을 중시하는 사업으로 전환하고 있으며, 기업유치 일변도에서 향토(중소)기업에 대한 지원을 강화해 박근혜정부의 중소기업살리기 등 국가적 정책과도 맥을 같이하고 있다"고 긍정적 평가를 내렸다.

 

전북고용포럼 창립때부터 회장으로 재임해 온 송 회장은 지난연말 고용부와 한국능률협회의 전국 15개 고용포럼 평가 결과 전국 최우수 기관으로 선정됐다. 이에 따른 인센티브(사업비 5000만원)도 받게 됐다.

 

전국의 모범사례로 뽑힌 전북고용포럼은 30여개 고용관련기관과 네트워크를 갖고 지역현안과 이슈를 발굴해 지역 노동시장의 현황에 대한 공감대 형성 및 문제해결 방안을 논의하고 있는데, 참여기관의 적극적인 협력과 참여에 의해 전국에서 가장 활성화된 포럼으로 평가받고 있다.

 

포럼은 매년 4차례의 운영위원회의를 통해 주제와 발제자를 선정하고, 현장전문가인 자치단체의 일자리창출 담당자들의 의견을 수렴해 선정된 주제를 포럼에서 다루면서 지역 노동시장의 현안과 이슈를 그때그때 발굴하는 성과를 보이고 있다.

 

송 회장은 "전북의 고용실적이 점차 향상되고 있지만 가장 중요한 것은 인프라 구축"이라고 강조하면서 "좋은 기업을 유치하고 육성하기 위해서는 항만이나 공항이 반드시 가까이 있어야 한다"고 말했다.

 

"경제 인프라가 잘 갖춰진 수도권에 좋은 기업들이 많은 것은 당연하다"는 송 회장은 "전북의 일자리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서는 이같은 인프라 구축이 가장 선행돼야 하며, 박근혜 정부에서 적극적인 관심을 가지고 풀어야 한다"고 요구했다.

 

도내 고용문제의 중요한 문제점으로 구인자과 구직자의 미스매치를 꼽은 송 회장은 "이의 가장 큰 원인은 시장의 임금과 구직자의 유보임금의 차이가 큰 것이며, 중소기업이 대부분인 우리지역 기업의 안정성이 낮은 것이 또 하나의 원인"이라고 진단하며 "중소기업의 임금보전 등의 정책과 더불어 안정성 향상을 위한 중소기업의 중견기업으로의 육성정책이 절대적으로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청년실업 해소방안에 대해서는 "정부가 책임지고 질 좋은 일자리를 만들어야 한다"며 "필요이상으로 높은 대학진학률을 줄이기 위해 대학의 구조조정도 필요하다고 생각한다"고 설명했다.

 

송 회장은 또 "일부 업종의 경우에는 비정규직이 불가피한 측면이 있지만 동일 노동의 경우에는 정규직화를 서둘러야 고용안정을 이룰 수 있다"고 진단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