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주시와 청원군의 통합은 단순한 도·농통합이 아닙니다. 통합 청주시-대전광역시-세종시가 어우러지는 300만 충청권 메트로폴리탄을 형성하는 첫걸음이라 해도 과언이 아닙니다"
청주시 풍경섭 통합실무준비단 기획총괄담당(50)은 "지난해 청주·청원 통합을 위한 주민투표에 앞서 양 자치단체는 2년 넘게 지속적인 교류협력을 추진했었다"면서 "제설용 차량 공동사용, 농기계임대은행 수리센터 공동운영, 청주·청원 도시기본계획 공동수립 등 30개 공동사업과 39개 상생방안 등은 결국 양 자치단체의 신뢰쌓기를 위한 교두보였던 셈"이라고 설명했다.
풍 담당은 현재까지도 통합추진의 최전선에서 청주·청원의 통합을 완성시키는데 주력하고 있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그는 "주민투표에 앞서 양 시·군간 공무원 인사교류도 하고 청원군의 눈도 치워주고 도서관도 같이 이용하는 등 공동사업을 추진하면서 청원군민들의 시각이 많이 달라졌던 게 사실"이라며 "행정구역 통합을 위한 전제조건은 얼마나 진정성을 보여주느냐, 양 지역이 통합을 목표로 어디까지 화학적 결합을 이뤄낼 수 있느냐가 관건"이라고 설명했다.
그는 그러면서 "3전4기 끝에 행정구역 통합에 성공하기까지 청원군의 반대가 컸었고, 이 같은 반대 목소리는 지난 2010년 통합논의때도 두드러졌었다"면서 "청원군민들에게 '반대를 위한 반대'의 틀을 깨고, 통합이후 지역이 얼마나 달라질 것인지에 대한 진심어린 설득에 전념했던 기억이 선명하다"고 말했다.
그는 마지막으로 "전주·완주 통합추진 과정에서 일부 완주지역민들의 우려가 여전한 것으로 알고 있다"면서 "갈등과 불신을 깰 수 있는 해법은 신뢰구축과 확고한 방향제시에서 찾아야할 것"이라고 조언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