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주시와 완주군의 통합논의가 본격화되면서 이미 통합을 마무리한 다른 자치단체들의 성공 배경에 관심이 모아진다. 이에 가장 최근 통합에 성공한 청주시와 청원군의 사례를 중심으로 전주·완주통합을 위한 필요충분조건이 무엇인지를 점검해본다.
△통합 청주시 '중부권 핵심도시' 야심
청주시와 청원군이 통합이라는 결실을 맺은 때는 지난해 6월 27일이었다. 당시 청원군 지역 53개 투표소에서 청원군민을 대상으로 치러진 청주·청원 통합 주민투표에서 전체 유권자 12만240명 가운데 36.8%인 4만4191명이 투표에 참여해 79%의 찬성률을 기록했다.
이날 통합 확정을 계기로 충북도, 청주시, 청원군의 광역행정 구상이 본격화됐다.
현재 청주·청원은 오는 20917년 7월 통합시 출범을 목표로 실무논의에 주력하고 있다.
지난 23일에는 통합 청주시의 설치에 관한 사항과 지원근거를 담은 '충청북도 청주시 설치 및 지원특례에 관한 법률'이 공포됐다.
통합 청주시법은 '청주시와 청원군을 2014년 7월 1일부터 폐지하고 통합 청주시를 설치한다'는 조항을 담고 있으며, 통합청사 건립비용 지원 등 통합 청주시에 대한 정부의 행정·재정적 특례지원근거도 명시했다.
내년 지방선거를 통해 선출할 통합 청주시장에게 상생발전방안 이행의무를 부여하고, 청주시장 직속으로 상생발전위를 설치한다는 규정도 들어있다.
통합 청주시를 바라보는 지역민들의 기대감은 아직은 장밋빛이다. 지역민들은 '청주·청원의 통합을 계기로 백년대계를 바라보는 종합 발전 계획 수립이 가능할 것'이라는 의중을 숨기지 않는다.
체계적이고 합리적인 광역도시계획을 통해 택지개발, 공단조성, 도로 확·포장, 공원녹지 계획 등 독자적인 지역개발로 행정 효율성도 높아질 것이라는 관측이 우세하다.
여기에 청원지역 행정구의 구청 신설 등으로 권역별 균형발전이 촉진되고, 세종시를 중심으로 한 대전-세종-청주·청원 통합시-천안권 발전축으로 형성되는 메트로폴리스의 한 축을 담당할 것으로 보인다.
한국은행 충북본부가 8개 도의 주요 도시들을 대상으로 경제력 종합지수를 측정한 결과 청주·청원 통합시는 경제력(10위→4위), 경제성장기반(7위→1위), 실물경제(10위→3위), 재정(10위→6위) 등 모든 부문에서 순위가 급상승할 것으로 내다봤다.
특히 청주(67만명)와 청원(16만명)을 합한 인구는 총 83만명으로, 이는 기초자치단체 가운데 경기도 부천시 87만5204명에 이어 7위(특별시와 광역시 제외)에 해당된다.
통합시는 한발 더 나아가 통합이후 인구 100만명 규모인 중부권 핵심도시로 만든다는 구상이다.
△4수 끝에 이룬 통합
청주시와 청원군의 경우 전주·완주와 마찬가지로 도넛형 행정구역인데다 행정구역과 경제생활권이 일치하다는 점에서 통합의 필요성이 제기됐었다.
청주와 청원은 미군정 치하였던 1946년 6월 1일 분리됐지만 청원군청을 비롯한 20여 개 주요 행정기관이 모두 청주 시내에 위치해 있다.
특히 청주·청원 통합은 4수끝에 이룬 성과라는 점에서 전주·완주 통합논의에 던지는 시사점이 적지않다.
양 자치단체는 지난 1994년을 시작으로, 2005년과 2010년에 행정구역 통합을 시도했지만 번번이 분루를 삼켜야 했다.
특히 지난 2010년에는 청원군 반대단체의 극심한 반대에 부딪혀 통합의 문턱을 넘지못했었다.
당시 청주시가 통합추진과정에서 내걸은 현수막이나 안내장은 반대측의 제지로 인해 청원군민들의 손에 들어가지도 못했다는 게 관계자들의 설명이다.
하지만 지난 2010년 민선5기를 맞아 반전의 기회를 잡았다. 충북지사, 청주시장, 청원군수 등이 새로 바뀌면서 통합반대의 목소리가 상대적으로 사그라들었고, 청주시측의 청원군을 향한 구애도 각별했다는 것.
농기계은행 등 통합협력사업을 지속적으로 추진하는 한편 양 자치단체 공무원교류도 활발하게 이뤄졌다.
청원군에서 발생한 재활용쓰레기를 청주시에서 처리하는 등 양 자치단체의 물리적·화학적 결합을 위한 노력이 꾸준하게 펼쳐졌다는 게 관계자들의 설명이다.
결국 청주시·청원군이 통합에 이르기까지 양 자치단체가 진정성을 보이며 현안사업을 추진했고, 지역민들에게 통합이후의 비전을 제시하는데 주저하지 않았다는 성공전략이 깃들여 있는 셈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