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연합뉴스) 박용주 기자 = 정보나 경비, 경무 등 비민생 분야나 지방경찰청 지원 부서 등에서 근무 중인 경찰 1천600여명이 성폭력·학교폭력·가정파괴·불량식품 등 4대악 척결을 위한 치안 현장에 추가 투입된다.
박근혜 대통령 당선인이 공약한 경찰 인력 증원까지 감안할 경우 경찰서·지구대·파출소 등 일선에 투입되는 인원은 큰 폭으로 늘어날 것으로 예상된다.
17일 경찰과 국회 행정안전위원회 유승우 의원실에 따르면 경찰청은 기동대 570명, 정보경찰 523명 등 약 1천100명의 비민생분야 경찰을 근무 지원 형태로 치안 일선에 보내기로 했다.
기동대 경찰들은 기존 소속을 그대로 유지한 채 경찰서나 지구대·파출소 등 방범 활동에, 정보 경찰들은 4대악 관련 범죄나 정책 정보를 수집하는 지원 역할을 추가로 부여받게 된다.
경찰은 이와 별도로 경비나 정보 분야 및 경찰청과 16개 지방경찰청의 지원 부서 인력 450명을 감축해 치안 일선으로 내려 보내고 있다. 이들은 이달 말쯤 지방경찰청 산하에 출범하는 성폭력특별수사대(130여명)와 학교폭력전담경찰관(170명) 등에 배정된다.
이에 따라 성폭력수사대는 200명, 학교폭력전담경찰관은 680명으로 불어나 여성과 아동, 장애인, 학생 안전 확보에 나서게 된다.
경찰은 인력 재배치 차원에서 일반직이나 기능사무직 공무원을 행정 지원 기능(경무·경리 등) 파트에 확대 배치하는 방법으로 이들 분야에 있던 경찰을 일선으로 추가로 내려 보내는 방안도 모색 중이다.
경찰은 4대악 척결 차원에서 향후 5년간 경찰 3천500여명을 인력 재배치를 통해 일선으로 보낸다는 계획을 세워두고 있다.
경찰은 이런 방식으로 2008년부터 지난해까지 6회에 걸쳐 8천940여명의 경찰을 일선에 재배치한 바 있다.
경찰은 5년간 경찰 2만명을 증원한다는 새 정부의 공약이 실현되면 증원 인력 대부분을 지구대·파출소 등 현장으로 보낼 예정이다.
범죄예방 기능에 전체 증원 규모의 43%인 8천700여명, 수사 역량 강화 부문에 약 4천900명, 성폭력 대응 분야에 2천300명, 아동·청소년 분야에 1천400명, 교통사고 예방에 1천300명, 신규 치안 대응에 700명을 투입하는 방안을 검토 중이다.
경찰은 채용이나 교육과정(8개월)에서 상당한 시간이 소요되는 점을 감안해 최대한 이른 시일 내에 증원안을 확정할 방침이다.
경찰청 관계자는 "비민생근무 분야에 근무 중인 경찰을 민생 분야로 지원 근무시키는 것은 물론 신규 충원되는 인력도 지구대나 파출소 등 범죄 예방으로 집중 투입해 치안 일선에 근무하는 경찰을 늘릴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