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내 지방자치단체들의 교육예산 투자가 갈수록 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6일 전북도교육청에 따르면 도청을 비롯해 도내 14개 시군의 올해 교육예산 현황을 분석한 결과, 모두 1420억원 가량이 편성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지난해 교육예산 1357억원보다 63억원(4.6%)이 늘어난 것이다.
이들 자치단체의 교육예산 편성현황을 보면 △학교급식 524억원 △학생복리 증진 340억원 순으로 집계돼 전체 교육예산의 60% 가량이 교육복지분야에 투자된다.
이어 학력신장 145억원, 교육환경 개선 105억원, 글로벌 인재양성 103억원, 학생장학금 87억원 순으로 편성됐다.
지난해 대비 교육예산 증감률을 살펴보면 학생 복리증진, 장학금 사업, 학력신장이 각각 28.6%p, 19.7%p, 12%p 늘어났다.
반면에 교육환경 개선부문은 53.3%p 줄었는데, 강당·체육관 신축 등 대규모 예산이 투입돼야 하는 사업이 감소한 것이 그 원인으로 분석됐다.
이에 따라 도교육청은 교육정책의 효율적인 추진을 위해 공동예산 투자 등 자치단체와의 협력을 강화하기로 했다.
사업 분야별로 보면 우선 도교육청과 도청, 자치단체는 모두 121억원을 투자해 초·중·고교에 원어민 교사 283명을 배치한다.
도교육청은 전체 예산의 55%를 투자하고, 도와 시·군은 대응투자를 통해 사업을 지원한다.
아울러 학교마을도서관사업, 농어촌학교 방과후학교 운영, 엄마품 온종일 돌봄교실도 함께 추진한다. 특히 무상급식에 소요되는 985억원 중 도교육청 560억원(57%), 도청 193억원(20%), 시·군청 231억원(23%)이 투자된다.
농어촌지역 기숙형 고교 지원사업에도 모두 13개교에 32억원 중 도교육청이 50%를, 도·시군은 나머지 절반을 부담한다.
강평구 도교육청 예산과장은 "주민들의 교육에 대한 요구가 다양화하고 있어 교육당국과 지자체 간의 상호협조가 중요하다"며 "원할한 소통으로 교육경비 보조금 유치 노력에 힘쓰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