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소득층 교육소비, 저소득층의 2.5배

소비 양극화 현상이 갈수록 심해지고 있다. 저소득층은 '의식주(衣食住)' 소비 비중이 커지고 고소득층은 '여가·교육' 부문에 집중되고 있다.

 

경기침체로 전반적인 소비 규모가 축소되며 백화점 업종 주가는 내리고 편의점·홈쇼핑은 올랐다. 19일 통계청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전국 2인 이상 가구 기준으로 작년 소득 하위 10%인 1분위의 소비지출 중 식료품·비주류음료 비중은 23.6%로 가장 많은 부분을 차지했다. 뒤이어 주거·수도·광열 부문 소비가 18.2%, 보건 10.9%였다. 이 세 항목 소비가 전체 소비지출의 52.7%에 달했다.

 

의식주와 질병 치료 등을 위한 기본적인 씀씀이가 전체 소비의 절반이 넘은 것이다.

 

반면 소득 상위 10%인 10분위의 식료품·비주류음료(11.1%), 주거·수도·광열(7.7%), 보건(5.8%) 등 세 항목 비중은 총 24.6%로 저소득층의 절반도 되지 않았다.

 

고소득층의 소비 비중이 가장 큰 것은 교통(14.4%)이다. 교통은 고가의 자가용 운영과 기름값 부담이 반영된 것으로 분석된다.그다음으로 교육(14.0%), 음식·숙박(12.1%) 순이었다. 고소득층 교육 소비 비중은 저소득층(5.5%)의 2.5배에 달해 교육 양극화가 심각한 것을 보여줬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