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광옥, 국민대통합위원장 후보 물망

동서화합·국민통합 적임자 평가…귀추 주목

 

박근혜 정부의 출범 과정에서 전북 출신으로는 가장 비중있는 인사로 분류되고 있는 한광옥 전 새누리당 국민대통합위 수석부위원장의 거취가 주목을 끈다.

 

박근혜 정부 탄생에 힘을 보탰던 한광옥 전 수석부위원장은 첫 조각에서 총리감으로 거론되는 등 동서화합과 국민통합을 위한 적임자로 꼽혔으나, 아직 뚜렷한 직책을 갖지 못한 상태다.

 

이런 가운데 이르면 이달 중 대통령 소속으로 설치될 예정인 '국민대통합위원회'위원장 후보로 한광옥 전 수석부위원장이 유력하게 거론되고 있다.

 

안전행정부는 최근 '국민대통합위원회 설치 및 운영에 관한 규정안'을 마련, 입법예고에 들어갔다.

 

규정안은 국민대통합위원회의 목적, 기능, 위원 구성, 위원회 조직 및 운영방식 등을 명시하고 있다.

 

위원회는 국민통합 정책의 기본방향을 정하고 국민통합 국가전략의 수립·변경·시행에 관한 사항 등 국민통합 관련 사항에 관해 대통령 자문기능을 수행한다. 위원은 민간 위촉위원 40명과 당연직(부처 장관 등) 20명으로 구성하며, 임기 1년에 연임이 가능하다.

 

국민대통합위원회에는 분과위원회와 지역위원회를 둘 수 있도록 했고, 위원회의 업무 지원과 실무적인 사무를 수행하기 위해 기획단도 둘 수 있도록 했다.

 

특히 국민통합에 대한 기본 방향 및 전략수립, 조정, 평가와 지역의 통합정책 등에 관한 사항을 협의하기 위해 중앙행정기관 및 지방자치단체의 국민통합정책 관련 실·국장이 참여하는 국민통합정책협의회도 둘 수 있도록 했다.

 

정부는 입법예고에 따른 의견을 수렴한 뒤, 법제처 심사 및 국무회의를 거쳐 설치규정을 이달 중 확정할 예정이다.

 

실무를 맡을 기획단에는 차관보급(1급) 2명, 각 부처 파견 공무원 25명 정도의 규모가 될 전망이다.

 

가장 관심을 끄는 위원장에는 한광옥 전 새누리당 국민대통합위 수석부위원장이 첫손에 꼽히고 있고, 한화갑 전 민주당 대표, 송호근 서울대 교수 등도 거론 중이다.

 

박근혜 정부에 전북 인맥이 차단된 가운데 한광옥 전 수석부위원장이 성난 민심을 달래는 국민대통합위원장을 맡게될지 귀추가 주목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