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생관리 엉망…학교 식중독은 '인재'

급식 납품업체, 오염 지하수로 김치 담가 / 관할구청 10년간 한번도 수질확인 안해

속보= 도내 학교에서 식중독 사고가 잇따르고 있는 가운데 위생점검 소홀 등 관할 구청의 관리 부재가 불러온 예고된 인재(人災)라는 지적이다. (본보 3일자 6면·5일자 1면·8일자 6면 보도)

 

8일 전북도 및 식품의약품안전처에 따르면 식중독이 발생한 5개교에 김치를 납품한 A업체가 김치 제조에 사용한 지하수에서 노로바이러스균이 발견됐다.

 

앞서 이 업체의 김치에서도 노로바이스러균이 검출됐다.

 

노로바이러스는 오염된 물이나 음식물 등을 섭취할 때 감염성 위장염을 일으키는 장관계 바이러스 중 하나다.

 

A업체는 2003년 지하수 관정을 뚫고 담당 구청에 생활용수로 활용하겠다고 신고했으나, 실제로는 김치 제조에 사용했다.

 

하지만 해당 구청은 지하수의 사용 여부를 지난 10년 간 단 한 번도 확인하지 않은 것으로 드러났다.

 

일부 김치 제조업체에서 수돗물 값을 아끼기 위해 지하수를 사용하는 것은 업계의 관행처럼 내려오고 있지만 관할 구청은 이를 염두에 두지 못한 것이다.

 

도는 A업체에 대해 영업정지 20일, 품목 제조 정지 1개월, 제품 폐기, 과태료 50만원 부과 등 행정 조치를 취할 계획이다.

 

관할 구청은 업주 김모씨를 경찰에 고발할 방침이다.

 

이와 관련, 업체 측의 비양심적인 태도와 관할 당국의 무성의한 관리가 미리 막을 수 있었던 사고를 불러왔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전주시 친환경 공공급식운동본부는 8일 성명서를 내고 "관계당국은 지도·감독 소홀과 직무유기, 탁상행정에 대한 비난을 피할 수 없을 것"이라며 "아이들을 건강하게 키워내야 할 의무를 방기한 지방자치단체와 어른들의 전적인 책임이다"고 밝혔다.

 

이어 "민·관 차원의 협력 논의기구를 통한 공공적 시스템을 구축, 공공성이 담보되는 친환경 급식지원센터를 건립하라"고 촉구했다.

 

한편 김승환 도교육감은 8일 확대간부회의에서 "이번 식중독 사고로 고생한 학생과 학부모들에게 미안하다"면서 "다시는 이런 일이 발생하지 않도록 모든 주의력을 집중하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