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읍역사 건설 사업이 부처간 협업을 통한 공공갈등 해소의 전국적인 수범 사례로 떠올라 눈길을 끌었다.
박근혜 대통령은 8일 청와대에서 열린 국민권익위원회와 법제처 업무보고 도중 "권익위가 국무조정실과 협업을 통해 갈등을 조기에 해결한 정읍역사 건설 사례는 부처간 협업이 왜 필요하고, 중요한지를 잘 말해주고 있다고 생각한다"고 밝혔다.
박 대통령은 특히 "당사자 간에 스스로 갈등을 해결하려는 것도 중요하겠지만, 해결이 안되는 경우를 대비해 국가 차원에서 대책과 안전장치를 잘 마련하는 것도 필요한데, 그런 점에서 권익위의 갈등 조정 기능이 더 확대될 필요가 있다고 생각한다"며 "국무조정실과 부처들의 적극적인 협조가 필요하다. 국무조정실은 권익위가 갈등 조정 과정에서 도움을 요청하는 경우 최대한 협조를 해달라"고 지시했다.
각 소관별로 갈등 사안을 자체적으로 해결하기 어려울 경우 국민권익위의 중립적 조정 서비스를 잘 활용해 갈등이 재현되지 않고, 지연되지 않도록 해달라는 게 박 대통령의 지시다. 박 대통령이 업무보고 도중 정읍역사 건설 문제를 갈등해소의 대표적 사례로 들자, 중앙부처에서는 "도대체 정읍 역사 사업이 무엇이냐"며 큰 관심을 보였다.
대통령이 언급한 정읍역사는 지난해 초 한국철도시설공단이 정읍시민들과 약속한 호남고속철도 정읍역사 신축 및 지하차도 신설을 원점에서 전면 재검토하면서 비롯됐다.
시민단체들이 철도시설 점거 등 물리력을 행사하기 직전, 국민권익위와 자치단체 등이 나서 시민들과 공감대를 형성하고 설득해 원만한 조정 및 합의를 이끌어냈다. 대통령 업무보고에 참석했던 정헌율 국민권익위 상임위원은 "정읍 역사 문제가 갈등조정의 전국적인 모범적인 사례로 꼽힐 수 있어서 가슴 뿌듯했다"며 "당시 박성일 상임위원(현 부지사) 등 전북 출신 국민권익위 관계자들과 자치단체, 지역 정치권 등에서 헌신적으로 갈등 해소에 나섰다"고 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