친환경농산물 학교급식이 실시되는 가운데 일부 자치단체간 손발이 맞지 않는다는 지적이다. 각 시·군별 특성에 따른 급식체계를 구상하는 가운데 일부 시·군은 소극적인 협조로 방안 마련이 늦어지고 있다.
9일 전북도에 따르면 각 시·군별로 민간단체형, 지역농협형, 급식지원센터형 등으로 친환경농산물 학교급식을 준비·계획하고 있다.
김제의 경우 농가에서 생산된 친환경농산물을 전문 생산자단체가 기존 조달업체를 통해 학교에 전달하는 방식이다. 무주는 지역 농협이 생산자단체 역할을 대신한다. 진안은 (주)진안마을만들기가 농가와의 계약재배를 통해 학교에 납품하는 모형이다. 전주·완주는 현재 전자입찰 방식이지만 통합이 성사되면 향후 급식지원센터를 통해 농가와 지역농협에서 확보한 친환경농산물을 학교에 공급할 계획이다.
하지만 군산·부안의 경우 아직 식자재공급센터의 역할을 하는 주체가 확정되지 않았다. 군산의 경우 쌀이 주생산품으로 다른 친환경농산물 생산은 부족한 상태인데다 일선 학교까지의 배송 문제가 과제로 남았다. 부안도 소극적인 협조로 공급·배송 주체간 합의가 이뤄지지 않은 상태다. 이는 자치단체의 의지가 관건이라는 의견이다. 모 자치단체의 경우 진척이 없었지만 "친환경농산물 학교급식이 자치단체장의 공약사업인 만큼 상반기에 마무리하라"는 지침이 내려진 뒤 적극적인 태도로 변했다는 전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