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지만 새로운 관광전략인 지리산 산악열차는 넘어야 할 산이 많다. 시험노선 유치에서부터 실용화노선까지 곳곳에 과제가 도사리고 있기 때문에, 남원시도 4대 쟁점사항을 해결해야 실용화에 이를 수 있을 것으로 진단하고 있다.
사업추진을 위한 자연공원법상 공원계획변경 승인 문제, 구례군과 협의 문제, 지방도 폐쇄에 따른 지역민 반발 및 관리청과 협의 문제, 사업비 조달 방안 문제 등은 대표적인 과제로 언급되고 있다.
먼저 남원시의 독자적인 행보로 환경부의 공원계획변경 승인을 이끌어내기가 어렵다는 분석이 지배적이다.
이 사안은 합당한 명분과 함께 정치적 타협을 수반할 것으로 보여진다. 남원시가 달궁∼성삼재∼구례 천은사로 이어지는 지방도 861호선(16㎞)을 실용화노선으로 적극 검토하고 있는 것도 이 때문으로 풀이된다. 지역 및 도 경계인 전남 구례군과 공동 연대로 정부를 설득하겠다는 전략이다. 구례군과 긴밀한 협조체계 구축이 시급한 현안으로 대두되고 있는 셈이다.
또 지리산 산악철도는 기존 지방도를 활용하는 만큼, 지방도 폐쇄에 따른 지역민들의 반발이 예상된다.
남원시는 관광객 유입 효과 및 지역경제 활성화 등을 명확하게 분석해 지역민의 공감대를 이끌어야 하는 과제를 안고 있다. 지방도 관리청인 전북도 및 전남도와 협의도 필수 사항이다.
4가지 쟁점 중 핵심으로 꼽히는 것은 막대한 사업비의 조달 방법이다. 한국철도기술연구원이 자체 연구개발비로 용역을 수행해 남원시가 2억원의 예산을 절감하더라도, 시험노선(1㎞) 유치에 70억원에서 100억원의 비용이 소요된다는 점이다. 총 16㎞의 실용화 노선으로 연장할 경우, 사업비는 어림잡아 1500억원 정도로 추산된다. 이에대해 시 관계자는 "친환경 녹색교통시스템 시범사업 등으로 국비를 받을 수 있도록 행정력을 집중할 것이다.
또한 남원시, 구례군, 민간투자사업자 등이 공동으로 특수목적법인(SPC)을 설립해 사업을 추진하는 방안에 대해 모색할 것"이라며 "사업추진 과정에서 드러나는 과제를 차근차근 해결해, 지리산을 세계적인 관광지로 우뚝 설 수 있도록 하겠다"고 밝혔다. 한편 남원시는 기술교류협약, 지리산 산악철도 기본구상 용역, 시험노선, 실용화노선 단계로 이 사업을 추진한다는 계획이다. 남원 달궁∼성삼재∼구례 천은사로 이어지는 지방도 861호선(16㎞), 남원 육모정∼정령치∼달궁 삼거리의 지방도 737호선(12㎞) 중 한 곳에 설치하는 방안이 유력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