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원의료원 노사, 사적중재위 무산 책임공방

"합의안 지켜야" vs "중재위 참여해야" / 남원노동시민대책위 "정부가 나서라"

중재위원회 구성이 중단된 남원의료원 노사갈등이 해결의 실마리를 찾지 못하고 있다. 노조 측은 사측에 합의 사항 이행을, 사측은 노조 측에 사적 중재위원회 참여를 촉구하며 양측이 평행선을 달리는 가운데 대승적 차원의 양보가 요구되고 있다.

 

남원의료원 노조 측과 사측은 17일 도의회에서 차례로 기자회견을 열고 자신들의 주장을 펼쳤다.

 

 

▲ 남원의료원 노사가 사적중재위원회 구성과 사측의 단체협약 해지 통보 등을 놓고 갈등을 빚고 있는 가운데 17일 도의회 브리핑룸에서 노조측이 각각 기자회견을 하고 있다. 이강민기자 lgm19740@

노조 소속 10여명은 "남원의료원장은 지난 1월2일 합의한 사항을 이행하지 않아 중재위 구성이 잠정 중단된 만큼 사측의 책임있는 자세를 촉구한다"며 "합의사항과는 다르게 파업 복귀 조합원에게 강제 연차 휴가 및 휴일을 부여해 인사상의 불이익을 주었고 중재위 구성 과정에서 일방적으로 단체협약 해지를 통보했다"고 말했다.

 

이들은 이어 "노사간 대화를 통해 현재의 단체협약이 만들어졌고 사측은 이 가운데 노조의 인사권 개입을 문제 삼지만 노조간부를 파면할 때만 노사합의다"며 "단체협약 해지가 철회되지 않을 경우 재파업도 고려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 남원의료원 노사가 사적중재위원회 구성과 사측의 단체협약 해지 통보 등을 놓고 갈등을 빚고 있는 가운데 17일 도의회 브리핑룸에서 병원측이 각각 기자회견을 하고 있다. 이강민기자 lgm19740@

반면 사측은 "지난 1월 2일 노사협의 정신에 입각해 노조의 중재위 참여를 요청한다"며 "교섭기간이 끝난 뒤에도 중재위 구성을 위해 도의회에서 추천한 위원에 대해 노조가 무응답으로 일관하고 있다"고 응수했다.

 

이어 "중재위 참여와 단체협약 해지는 별개의 문제다"면서 "올 3월 13일 새로운 단체협약이 맺어지지 않을 경우 기존 단체협약이 자동 갱신되기 때문에 불가피하게 단체협약 해지를 통보했다"고 말했다.

 

한편 남원지역 21개 단체로 구성된 남원의료원 문제해결을 위한 남원노동시민사회 대책위원회는 이날 진주의료원 사태와 관련 성명을 냈다. 이들은 "진주의료원과 남원의료원 등 지방의료원은 민간이 기피하는 사업을 많이 했다"며 "문제의 본질은 같으며, 공공의료에 대한 국가의 책임을 지역민과 종사들에게 전가하지 말고 대통령이 나서야 한다"고 주장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