혁신도시 민간 건축물 허가신청 극소수

상업·주거·편의시설 등 정주여건 조성 비상

경기침체가 지속되면서 전북혁신도시의 민간인 분양용지의 건축물 신축이 가능해졌지만, 건축허가를 신청하는 토지주는 극소수에 그치고 있다.

 

이들 민간 건축물은 대부분이 해당지역 입주민들을 지원하기 위한 상업시설과 주거시설, 편의시설이어서 전북혁신도시의 정주여건 조성에 비상이 걸렸다.

 

24일 전북도에 따르면 이 달부터 전북혁신도시 총 317개 필지(257만3000㎡) 중 민간인들에게 분양한 293필지(11만6000㎡)를 대상으로 건축허가를 내주고 있다. 지난 2008년 착공한 전북혁신도시 건설사업은 그동안 부지 조성과 공공기관 신사옥 건립, 공동주택 건립 등 공공분야에 대한 개발사업만 진행돼왔다. 이어 올 초 도로와 전력, 상하수도, 도시가스 등 기반시설 건설공사를 완료한 가운데 민간인들이 매입한 분양용지에 대한 건축허가를 접수하고 있다.

 

그러나 애초 기대와는 달리 민간인 분양용지 293필지(11만6000㎡)의 2.38%에 불과한 7개 필지의 토지주만 건축허가를 신청하는 데 그치고 있다.

 

올 하반기부터 공공기관 이전공사가 시작되는 것에 맞춰 민간인 분양용지의 건축허가가 쇄도할 것으로 예측됐으나 미동조차 하지 않는 것이다. 이 또한 한 사업자가 6개 부지의 건축허가를 신청하는 등 민간인 건축신청은 거의 없어 전북혁신도시의 정주여건 조성에 어려움이 예상되고 있다.

 

민간 분양용지는 중심상업 13필지(2만2000㎡), 일반상업 22필지(1만5000㎡), 근린생활 10필지(6000㎡), 단독택지 239필지(6만4000㎡), 주차장 9필지(9000㎡)다. 여기에는 식당과 상가, 하숙집 등 전북혁신도시에 입주하는 공공기관 직원들과 가족 등 입주민들에 생활편익을 제공하는 시설물이 들어서게 된다. 결과적으로 건축경기 불황으로 인해 전북혁신도시의 민간 분양용지에 건축물이 들어서지 못해 향후 혁신도시 입주민들의 생활불편이 예상되는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