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통령 직속 국민대통합위원장 전북출신 한광옥 사실상 확정

▲ 한광옥 전 대표

박근혜 정부 출범과 더불어 중앙 인맥 기근현상이 심화된 가운데 곧 출범할 대통령 직속 '국민대통합위원회' 위원장에 전북 출신 한광옥 전 민주당 대표가 사실상 확정되면서 향후 그의 역할이 주목받게 됐다.(5일자 4면 보도)

 

한 전 대표는 인수위 국민대통합위원장을 맡았을 뿐 아니라 대선 과정에서도 새누리당 국민대통합위 수석부위원장을 역임하는 등 현 정부 출범 과정에 역할을 해왔다.

 

이런 가운데 박근혜 대통령은 지난 24일 청와대에서 열린 중앙 언론사 편집·보도국장 오찬 간담회에서 "국민대통합위원회, 청년위원회, 지역발전위원회 등도 조만간 구성을 완료해 세대와 지역을 넘어 다양한 의견을 듣는 기회를 갖겠다"고 말했다.

 

대통령 직속 국민대통합위원회가 곧 출범해 저변의 목소리를 대통령에게 직접 전하는 계기가 마련될 것임을 확실히 한 대목이다.

 

박근혜 정부 들어 대통령 직속 위원회는 대부분 없앴으나, 국민대통합위와 청년위는 새 정부 대선 공약으로 새로 설치되는 위원회다.

 

한광옥 전 대표가 위원장을 맡게 될 국민대통합위는 우리 사회에 내재한 상처와 갈등을 치유하기 위한 국민통합 정책의 기본방향을 정하고, 국민통합 국가전략 수립과 관련한 대통령 자문기능을 수행한다.

 

안전행정부는 최근 '국민대통합위원회 설치 및 운영에 관한 규정안'을 마련, 입법예고에 들어갔다. 규정안은 국민대통합위원회의 목적, 기능, 위원 구성, 위원회 조직 및 운영방식 등을 명시하고 있다.

 

위원회는 국민통합 정책의 기본방향을 정하고 국민통합 국가전략의 수립·변경·시행에 관한 사항 등 국민통합 관련 사항에 관해 대통령 자문기능을 수행한다.

 

위원은 민간 위촉위원 40명과 당연직(부처 장관 등) 20명으로 구성하며, 임기 1년에 연임이 가능하다.

 

국민대통합위원회에는 분과위원회와 지역위원회를 둘 수 있도록 했고, 위원회의 업무 지원과 실무적인 사무를 수행하기 위해 기획단도 둘 수 있도록 했다. 특히 국민통합에 대한 기본 방향 및 전략수립, 조정, 평가와 지역의 통합정책 등에 관한 사항을 협의하기 위해 중앙행정기관 및 지방자치단체의 국민통합정책 관련 실·국장이 참여하는 국민통합정책협의회도 둘 수 있도록 했다.

 

실무를 맡을 기획단에는 차관보급(1급) 2명, 각 부처 파견 공무원 25명 정도의 규모가 될 전망이다.

 

한광옥 전 대표는 최근 본보와의 통화에서 "박근혜 정부가 성공해야 한다는 것 외에는 아무런 욕심이 없다"면서도 "(만일 대통합위원장을 맡게 된다면) 모든 역량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박근혜 정부 출범과 더불어 중앙 무대에서 전북 인맥이 차단된 가운데 국민대통합위원장을 맡게 될 한광옥 전 대표가 전북을 비롯한 각 지역의 성난 민심을 달래며 국민대통합을 이뤄낼지 주목된다.

 

한편, 대통령 직속 청년위원회는 청년의 창업·취업 등 일자리 창출에 관한 정책을 발굴해 대통령에게 자문하는 역할을 맡게 되는데 새누리당 김상민 의원 등이 위원장 후보로 검토중인 것으로 알려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