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주시민미디어센터 영시미(소장 장낙인)와 서울영상미디어센터가 26일 한국전통문화전당에서 '전라북도의 지역 영상문화 발전과 지역민의 영화·영상 문화 향유권 강화 방안 모색'을 주제로 연 세미나에서 토론자 허경 전국미디어센터협의회 사무국장은 전국 시·군 228곳 중 109곳이 영화관이 없는 지역 간 영화 관람의 불균형을 해소해야 한다는 전제 아래 전국적으로 모범 사례로 꼽히는 장수 한누리 시네마와 같이 100석 미만의 '작은 영화관'이 전국적으로 많이 생겨나야 한다는 토론자들의 주장에 공감했다.
이어 " '작은 영화관'이 최신 영화를 볼 수 있는 데서 만족할 것이 아니라 청소년들이 직접 영상물을 제작할 수 있는 열린 공간으로 되려면 '지역영상미디어센터'를 건립하거나 이와 비슷한 기능을 갖는 단체와 협력망을 구축해 활용안을 고민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하지만 '작은 영화관'이 최신 영화만을 상영하는 것에 대한 우려의 목소리와 함께 운영 인력에 대한 예산 지원이 선결돼야 한다고 목소리도 제기됐다.
토론자 전병원 전북독립영화협회 사무국장은 "대기업 영화관이 전국 소도시에 영화관을 짓지 않는 것은 돈이 안 되기 때문"이라면서 "그런데 작은 영화관에서 대기업이 만드는 영화만 트는 것은 명분이 떨어지고, 장기적으로 한국 영화계에 독이 될 수 있다"고 반발했다. 전 국장은 이어 "전북에 영화관이 없는 8개 시군에 건립되는 영화관이 민간위탁이 되고 있는 현실을 감안할 때 공간을 짓는 것 외에 운영 인력에 대한 예산 지원이 없다면 공공성은 쉽게 무너질 수밖에 없다"고 경계했고, "작은 영화관이 지역영상미디어센터의 역할을 겸하는 '시네마테크' 등과 같은 과도한 역할을 부담시키는 것은 무리가 많다"고도 했다.
발제자 임노욱 전북도청 문화콘텐츠 담당자는 "작은 도서관 사업과 같이 새롭게 건립되는 작은 영화관에 문화코디네이터를 배치하는 계획이 중장기 방안에 있다"면서 "기존 상영관 보다 관람료가 50% 이상 싸게 제공되는 작은 영화관 관람료를 유지하려면 전국 단위의 협동조합을 만들어 배급사와 협상해 배급해야 할 필요가 있다"고 제시했다.
발제자 최성은 전주시민미디어센터 영시미 사무국장도 "작은 영화관이 성공하려면 지역미디어센터와 유기적인 네트워크가 구성될 수 있도록 전북도의 종합적인 장기적인 정책과 지원이 요구된다"고 강조했다.
정부와 지자체, 지역미디어센터 담당자가 전북에서 처음 가진 이번 세미나에서는 임노욱 전북도청 문화콘텐츠 담당자와 최성은 영시미 사무국장 외에 박병우 문화체육관광부 영상콘텐츠산업과장, 김보연 영화진흥위원회 정책연구부장, 허경 전국미디어센터협의회 사무국장, 전병원 전북독립영화협회 사무국장, 이주봉 군산대학교 유럽미디어문화학과 교수 등이 토론자로 참여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