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소득층 고금리 적금 각광

1년만기 최고 7%중반대 혜택 / 월 납부한도 50만원으로 상향

기초생활수급자나 소년소녀가장 등 저소득·취약계층을 대상으로 최고 7%대 중반대의 금리를 제공하는 적금상품이 있어 주목을 끌고 있다.

 

저금리 기조 속 연 4%대 금리의 재형저축에 관심이 쏠리고 있지만 재형저축처럼 비과세 혜택은 없지만 1년 만기임에도 최고 7%대 중반대의 금리를 제공하기 때문이다.

 

은행권은 재형저축에 가입할 수 없는 저소득·취약계층을 배려하기 위해 사회소외계층 대상 적금상품의 금리를 올린 데 이어 가입 대상을 확대하고 있다.

 

은행권에 따르면 국민은행과 신한, 우리, 기업, 외환, 부산, 대구, 경남 등 8개 은행이 기초생활수급자나 소년소녀가장, 북한이탈주민, 결혼이민여성 등에 사회소외계층 대상 고금리 적금상품을 판매하고 있다.

 

국민은행(적금 상품명 '행복만들기')과 우리은행(희망드림)은 기본과 만기해지시 적용되는 우대금리를 포함해 최고 연 7.5%의 금리를 제공한다.

 

대구은행(행복동행), 경남은행(희망모아)은 최고 연 7%, 기업은행(신서민섬김)은 6.7%, 신한은행(새희망)과 외환은행(1004 나눔)은 각각 최고 연 6.0%와 5.5%의 금리를 제시한다.

 

은행권 정기적금 평균 금리가 연 3%대로 떨어지고, 그나마 금리가 높은 재형저축도 최고 연 4%대 중반에 그치는 점을 감안하면 매우 높은 수준이다.

 

은행권은 출시 이후 시장금리 하락에도 기본금리를 0.5%포인트가량 올렸다. 또 일반근로자가 아니라 재형저축 가입요건을 갖추지 못한 저소득층을 배려하고자 근로장려금 수급자와 한부모가족지원 보호 대상자도 가입할 수 있도록 가입자격을 확대했다.

 

월 납부 한도도 기존 30만원에도 50만원으로 높여 재산 증식에 도움을 주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