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북지역 상호금융조합(신협, 농·수협 단위조합, 산림조합, 새마을금고)의 여·수신이 5년새 대폭 증가한 가운데 득실을 놓고 우려의 목소리가 나왔다.
한국은행 전북본부가 9일 발표한 '금융위기 이후 전북지역 상호금융조합 여·수신 상황 및 평가'자료에 따르면 도내 상호금융조합의 수신잔액은 2013년 2월말 기준 19조1000억원으로 5년여 전인 2007년 12월말 대비 69.6% 증가했고 여신잔액은 11조9000억원으로 울산(94.3%), 부산(82.0%)에 이어 전국에서 3번째로 높은 76.6%의 증가율을 보였다.
상호금융조합의 여·수신 누적 증감률은 예금은행(여신 41.0%·수신 34.8%) 및 비은행예금취급기관(40.6%, 42.5%) 평균을 크게 웃도는 수준으로, 특히 새마을금고(133.8%, 105.9%)와 신협(100.9%, 95.8%)의 증가율이 돋보였다.
여신이 증가한 이유는 증가한 수신고를 바탕으로 가계대출 취급 등에 적극적인 행보를 보였고, 예금은행에 대한 예대율 규제, 저축은행 부실, 햇살론 도입 등과 같은 제도적 및 제도적외 요인이 겹치면서 예금은행과 저축은행, 대부업체 등의 대출 수요가 상호금융조합으로 이전됐기 때문으로 분석했다.
수신이 증가한 이유는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저금리 기조가 장기화되면서 예금자들의 금리 민감도가 높아져 예금은행보다 높은 금리 및 세제 혜택을 제공하는 상호금융조합에 대한 관심이 증대되고 전일저축은행, 전주저축은행 등 도내 대형 저축은행들이 잇따라 영업정지되면서 반사이익으로 저축은행에 예치됐던 자금의 상당수가 이전됐기 때문으로 풀이했다.
하지만 여·수신 증가로 인한 우려감도 지적했다.
정부의 감독 강화 및 부동산 등 내수경기 부진으로 유입된 예수금을 운용할 대출처 등 신규 운용수단 발굴에 어려움을 겪고 있으며 주택가격 하락, 내수경기 부진 등에 따른 차주의 채무상환능력 저하로 상호금융조합의 자산건전성이 악화될 우려가 크기 때문이다.
실제 상호금융조합의 총여신 중 가계대출 비중은 2013년 2월말 기준 69.2%로 예금은행의 36.4%보다 훨씬 높은 수준이다.
또한 상호금융조합의 경우 예금은행보다 신용등급이 낮은 취약계층 차주에 대한 여신비중이 높아 경기 부진의 충격에 더욱 취약하고 예금은행의 개인고객 확보 경쟁, 정부의 서민금융 지원정책 등에 따라 과거 상호금융조합 자금운용처(서민금융 등)로 분할되던 업무영역이 타 기관에 의해 잠식되고 있는 점도 악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