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근혜 대통령은 14일 청와대에서 열린 국무회의에서 "각 부처에서 공직자가 국민 신뢰에 어긋나지 않도록 더욱 공직기강을 확립해 달라"며 "이번에 공직자의 처신이 얼마나 중요한 것인지 다들 절감하는 계기가 됐을 것"이라고 말했다.
청와대뿐 아니라 모든 공직사회의 기강확립에 나설 것임을 분명히 한 것이다.
특히 허태열 청와대 비서실장이 지난 13일 비서실 전 직원들에게 '당부의 글'을 보내면서 공직기강을 다잡는 후속조치가 곧바로 시행될 것이 확실해 참모들은 이래저래 후폭풍을 걱정하는 표정이 역력하다.
청와대는 일단 윤창중 전 대변인의 경질과 이남기 홍보수석의 사퇴 정도로 국면전환을 노리고 있으나, 야권의 대응이나 여론추이의 향방에 따라 대통령에게 씌워지고 있는 부담을 덜기위해 더 큰 책임을 지는 사람이 나올 가능성도 있다.
이런 상황에서 자칫 행동 하나, 말 한마디 잘못했다가는 시범 케이스에 걸릴 수 있어 허태열 비서실장의 지휘를 받는 비서진은 극도로 조심하는 분위기다.
허 실장은 이날 '비서실 직원에게 보내는 당부의 글'을 통해 "이번 사안에 대해서도 마찬가지이지만, 앞으로 청와대 직원의 부적절한 언행에 대해서는 지위 고하를 막론하고 '철저한 무관용 원칙(zero tolerance)'을 지켜 나갈 것임을 분명히 밝혀둔다"고 밝혔다.
그는 특히 "향후 저를 포함한 수석비서관들부터 엄중한 근무자세를 견지해 나가겠다"며 "모든 직원들도 업무를 추진하는 과정에서 일반국민과 부처 직원들에 대해 낮은 자세를 유지하고 있는 지, 지탄받을 만한 언행을 하고 있지는 않은 지, 업무와 관련해서 사적인 유혹에 흔들리고 있지는 않은 지, 업무와 무관한 사생활에 있어 부적절한 행동은 없는 지 되짚어보고 스스로를 엄격하게 관리해달라"고 주문했다.
이번 일을 계기로 청와대는 향후 대통령의 외국 방문 시 청와대 공직기강팀을 수행단에 반드시 포함시키기로 하는 등 해외 순방 매뉴얼도 만들기로 했다.
'윤창중 파문'의 여진이 어디까지 계속될 지 청와대 안팎에서 예의주시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