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학농민혁명 120주년을 계기로 민·관·학의 협력체계가 요구되고 있다. 10년째 기념일 제정 문제가 원론적인 수준에서 되풀이 되는 가운데 조속한 합의로 위상을 재정립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다.
14일 전북도에 따르면 내년 120주년 사업 추진을 위해 동학농민혁명 기념일 논란의 중재 가능 여부를 안전행정부 중앙분쟁조정위원회에 문의한 결과 조정 대상에 포함되지 않는다는 답변을 받았다. 새만금 행정구역처럼 정읍시와 고창군의 직접적인 자치단체간 갈등 사안이 아닌 만큼 조정위에서 다룰 수 없다는 것이다.
그동안 민간단체간 기념일 결정을 두고 합의가 이뤄지지 않은 상황에서 행정적인 조정도 여의치 않게 된 셈이다.
동학농민혁명의 위상을 재정립하는 첫 걸음인 기념일 제정 문제가 민간에서 대승적인 합의에 도달하기 못할 경우 정치권이 중재에 나설 전망이다.
올해 이 문제를 해결하지 못할 경우 지난 100주년처럼 각 지역별로 기념행사를 치르게 돼 위상 재정립이라는 말이 무색해지기 때문이다.
국회 김춘진 의원측은 "기념일 제정은 동학농민혁명 선양사업 중 가장 시급한 일로 특정 일자를 고집하지 않는다"며 "올해 상임위에서 법안 논의과정을 지켜봐야 한다"고 말했다.
더욱이 지난 11일 정읍에서 열린 제46회 황토현동학농민혁명기념제에서 무장포고문(고창 무장기포)이 공식행사 도중 발표되면서 기념일 제정 갈등이 다시금 수면 위로 올라왔다.
이에 앞서 지난 10일에는 동학농민혁명기념재단에서 23개 민간단체와 관련 시·군 관계자들이 모여 120주년 관련 회의를 했지만 2주갑 행사를 위해 기념일 제정을 우선해야 한다는 공감대 형성에 그쳤다.
문화체육관광부, 기념재단, 전북도 등은 민간단체끼리 합의해야 한다는 원론적 입장으로 서로 기념일 제정 중재를 떠넘기며 한 발 물러서 있다. 일부 기념사업회는 행정에서 다룰 사항이 아니라는 의견이며, 전북도는 원칙적으로 문체부가 결정해야 한다고 토로했다.
결국 민간단체간 대승적 합의와 신뢰 회복이 우선이라는 지적이다.
문화체육관광부 관계자는 "올해는 기념일 문제를 끝내야 한다"면서 "유족의 의견을 수용하고 이해관계가 없는 제3자가 판단해 지난 100주년처럼 우왕좌왕하지 않고 뜻을 모아 120주년 행사를 치러야 한다"고 말했다. 〈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