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기외채 비중 IMF 후 첫 30%대 밑돌아

한국의 총 외채 중 만기 1년이하 단기 외채가 차지하는 비중이 13년 3개월만에 처음 20%대로 내려가는 등 외채구조가 개선됐다.

 

한국은행이 22일 발표한 '3월말 국제투자대조표(잠정)'에 따르면 지난 3월말 현재 대외 채무 잔액은 4천103억달러로 3개월 전보다 33억 달러 줄었다.

 

특히 단기 외채는 1천222억 달러로 45억 달러가 감소했다.

 

이에 따라 전체 대외 채무 중 단기 외채가 차지하는 비중은 29.8%로, 1999년 말(29.7%)이후 처음 20%대로 내려가면서 13년3개월만에 가장 낮은 수준을 기록했다. 이는 금융위기 시점인 2008년 9월말(51.9%)에 비해서는 무려 22.1%포인트나 낮은 수준이고 국제통화기금(IMF) 구제금융 이후 처음으로 30%대 밑으로 떨어진 것이다.

 

IMF 외환위기 직후인 1998년 2분기부터 1999년 4분기까지 단기 외채 비중은 25.3~29.7%를 기록했다.

 

3월말 현재 외환보유고에 대한 단기 외채의 비율도 37.3%로, 2006년 3월이후 최저 수준이다. 장기외채는 2천880억 달러로 외국인의 채권 투자를 중심으로 13억 달러가 늘었다.

 

이정용 한은 국외투자통계팀 과장은 "원화 가치의 절하에 따른 환율 효과에 기업의 무역신용을 중심으로 단기외채가 줄어 전체 외채가 감소했다"고 설명했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