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24일 오후 2시께, 전주시 우아동의 한 초등학교 앞. 학교를 마친 학생들이 줄지어 교문을 빠져나온다. 학교 앞 2차선 도로에는 차량들이 줄지어 지나간다.
교문을 빠져 나온 학생 대부분은 횡단보도를 통해 도로를 건넜다. 하지만 일부 학생들은 바로 옆에 설치된 횡단보도를 이용하지 않고, 신호도 지키지 않은 채 무작정 도로 위로 내달렸다.
잠시 후, 앞도 보지 않고 친구와 함께 뛰어나오던 학생들이 차량과 충돌할 뻔 한 아찔한 상황이 벌어졌다. 10분 동안 지켜본 결과, 20명의 학생이 스스럼없이 무단횡단을 했다.
한 학생은 "무단횡단을 하면 안 된다는 것은 알지만 빨리 집에 가고 싶어 그냥 도로 위를 건넜다"고 했다.
오후 3시께, 전주시 금암동. 왕복 8차선 도로위로 차량들이 쏜살같이 지나간다. 도로 가운데 설치된 화단형 중앙분리대에는 '무단횡단 절대금지'라는 입간판이 내걸려 있다. 하지만 버스 승강장에서 내린 승객 중 일부는 왕복 8차선 도로를 무단으로 건너고 있다.
이처럼 전북도민들의 무단횡단이 끊이지 않고 있다. 이로 인해 전북지역에서 발생하는 보행자 교통사고 사망자는 줄어드는데 반해 무단횡단에 따른 사망자는 해마다 늘고 있다.
26일 전북경찰청에 따르면 지난해 전북지역에서는 모두 70명이 무단횡단을 하다 교통사고를 당해 목숨을 잃었다. 이는 2010년 64명보다 6명, 2011년 67명 보단 3명이 늘어난 것이다.
같은 기간 보행자 교통사고 사망자는 2010년 134명에서 2011년 133명, 2012년 130명으로 소폭이지만 감소세를 이어가고 있다.
실제 지난 11일 완주군의 한 왕복 4차선 도로에서는 60대 노인이 차에 치어 병원으로 옮겨져 치료를 받던 중 숨졌다. 이 노인은 당시 중앙분리대가 설치된 도로 위를 무단으로 건너려다 차에 치어 다시는 가족의 품으로 돌아갈 수 없게 됐다.
앞서 지난 3월에는 전주 완산구의 한 도로에서 30대 남성이 차에 치어 목숨을 잃었다. 당시 사고로 목숨을 잃은 이 30대 남성은 횡단보도가 아닌 도로 위를 무단으로 건너려다 변을 당했다.
보행자 교통사고 사망자는 줄어드는데 반해 무단횡단에 따른 사망자는 오히려 늘어나는 것은 일부 사람들이 무단횡단이라는 불법행위를 저지르고도 죄책감을 갖지 않고, '나만 편하면 된다'는 안일한 인식을 갖고 있기 때문이라는 게 경찰 관계자의 설명이다.
전북경찰청 관계자는 "무단횡단에 따른 사망사고를 줄이기 위해서는 도민들의 인식개선이 먼저 이뤄져야 한다"며 "특히 아이들에게 무단횡단은 절대 해서는 안 된다는 인식을 어릴 적부터 심어주기 위한 부모님들의 노력이 절실하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