호주 출신 샘 해밍턴. 요즘 그 외국인을 보려고 TV앞에 앉는 여성들이 꽤 많을 것이다. 푸른 눈에 하얀 피부, 외국 배우처럼 잘생긴 외모도 아닐뿐더러 펑퍼짐한 몸매다. 유창한 한국어를 구사하며 간혹 우스꽝스러운 행동으로 코미디언 빰치는 개그로 웃음을 선사한다.
최근 MBC '일밤-진짜 사나이'에 출연하면서 인기가 주목됐다. '진짜 사나이'는 군대에 가상으로 입대해 겪는 이야기를 보여주는 예능 프로그램이다. 000씨는 "외국인이 뽀글이(군대식 라면)을 먹으면서 '군대라면이 최고다'라고 외치며 행복해하는 모습이 신선했다. 남자친구나 동생에게 군대 얘기를 들을 때는 막연한 거리감이 있었는데 TV 프로그램으로 보니 군인들이 고생이 많구나 싶다"라고 말했다.
시청률 조사기관인 TNms에 따르면 이 프로그램의 1~3회(4월 28일까지 방문)를 가장 많이 본 연령대가 40대 여성(6.2%)이다. 20대에서도 여성 (4.1%)이 남성(3.8%)보다 많이 시청했다. '여성은 군대이야기를 싫어한다'는 고정관념이 깨졌다고 볼 수 있다.
tvN 드라마 '푸른 거탑' 역시 이례적으로 군대를 배경으로 했지만 시즌2까지 제작되며 인기를 더하고 있다. 케이블 채널이지만 여성 시청자들의 입소문을 탄 것이다. 또한 입대를 앞두고 있는 20대 초반 남성들도 학습지침서처럼 이 프로그램을 즐겨본다고 한다.
군대이야기야 말로 남성들의 고생담이라는 점에서 진정한 리얼 버라이어티의 연장선일 수 있다. 군대는 출연자들로 인해 바보스러움을 가장할 필요가 없다. 군대라는 특수한 사회는 일반사회와는 다른 언행방식과 지식체계를 요구하기 때문에 갑자기 그곳으로 간 사람은 바보가 될 수밖에 없다. 다 큰 성인이 말하는 법부터 다시 배워야 하기 때문이다.
시청자들은 진짜 리얼리티를 좋아한다. 진짜처럼 겪는 상황에서 생고생하는 모습, 추레한 모습 등에 재미를 느낀다. 또한 군대에선 남자들의 진한 우애나 인간미도 느낄 수 있는 데, 이것이 바로 시청자들이 공감하는 또 다른 재미일 것이다.
군대란 부모나 스펙을 따지지 않고 군복을 입는 순간 모두가 하나가 되는 특수한 집단이다. 요즘사회에선 스펙으로 차별하고 무한경쟁을 시키는 살벌한 분위기에 군대의 집단성에서 인간미와 위안을 느끼는 것은 아닐까? 또한 남자들이 여자대학에 관심을 갖는 것처럼 남성으로만 구성된 집단이 주로 무엇을 하고 어떤 걸 좋아하는 지 궁금했을 것이다. 여성의 입장에서는 틈날 때 보면서 공감하거나 호기심을 채우고 즐기기에 적합하다. 쉴 틈은 없고 각박한 사회생활에서 호기심을 자극하는 군대이야기, 앞으로도 계속 기대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