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립대 '총장 간선제' 개선책 급하다

내부 선거인단 구성 놓고 세력간 힘겨루기 / 외부인사 비율 25%도 '깜깜이 투표' 가능성

교육부의 방침에 따라 올부터 간선제로 실시되고 있는 국립대 총장 선거가 수많은 잡음을 낳고 있는 가운데 개선대책이 필요하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올 12월 10일경 총장 선거를 치러야 하는 군산대의 경우 총장 임용후보자 선출에 관한 교육부의 규정에 따라 내부위원 75%, 외부위원 25% 정도로 선거인단을 구성할 예정이다. 이에따라 내부 36명, 외부 12명 등 48명의 추천위원회를 구성키로 했다.

 

그러나 교원과 직원, 학생위원으로 구성되는 내부위원에 대해 3개 집단이 참여비율을 높이기 위해 벌써부터 갈등을 빚고 있어 자칫 개인 자유의지보다는 집단의 이익과 이해가 반영되는 불공정 선거로 전락할 위험이 크다는 지적이다.

 

군산대 관계자는 "과거 직선제의 참여비율을 고려해 직원 4-5명(10-12%), 학생 1-2명(특별배려) 등을 포함시키려 하고 있으나 더 많은 숫자를 요구하고 있어 조정이 쉽지 않다"고 밝혔다.

 

더욱이 외부위원의 경우 학내 사정이나 후보자의 자질과 도덕성, 윤리성 등을 정확히 파악하기 힘든 상황에서 개인적 선호나 알음알음으로 비합리적 판단을 할 가능성이 큰 것으로 우려되고 있다.

 

특히 외부위원 중 학외단체의 경우 군산시청 국·과장 이상 1명, 전북도 국·과장 이상 1명, 상공회의소 의원 이상 1명, 시민단체 임원 이상 3명 등으로 구성하게 돼 있어, 후보자 입장에서는 이름 알리기에도 버거운 실정이다.

 

한 후보는 "도청 국·과장만도 300여명에 이르는데, 얼굴을 알린답시고 수백명에 일일이 인사하고 다닐 수도 없지 않느냐"면서 "외부위원들도 자기 일을 제쳐두고 선거에 적극 참여하기가 쉬운 일은 아닐 것"이라고 비판했다.

 

또다른 후보는 "지난 4월 선거를 치른 한 대학의 경우 외부위원들이 상당수 불참했고, 소송이 제기되는 등 현재까지도 심각한 후유증을 앓고 있다"면서 "지난 정권의 어이없는 제도 도입으로 캠퍼스가 혼란스러운 지경"이라고 강하게 성토했다.

 

군산대 교수협 평의회장인 김종후교수는 "이런 제도로 그나마 선거를 잘 치르려면 학교사정을 잘 아는 외부위원만 선거에 참여하고, 언론 등에서 합동 토론회를 여는 등 사회적 관심도를 높여야 한다"고 설명했다.

 

한편 전북대는 2014년 9월, 전주교대는 2015년 2월 경에 총장 선거가 실시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