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통시장은 물건을 사고파는 장소만이 아닌 지역공동체의 삶을 담고 있다. 그 시대의 삶을 보여주는 자화상인 셈이다. 조선시대 장시로 불리다가 근대 이후 재래시장으로 통용됐으며, 낡은 이미지를 탈피시키기 위해 지금은 전통시장이라는 이름을 사용하고 있다. 전통시장은 1996년 국내 유통시장이 개방되면서 소비자의 구매 형태가 다변화되고 대형마트가 진출하면서 위기를 맞았다. 2004년 재래시장 특별법 제정과 함께 자치단체 차원의 장보기 운동 등 전통시장 살리기 노력이 이루어지고 있다. 최근에는 전통시장에 문화예술을 입히는 등의 변화를 모색하면서 새로운 가능성을 보여주고 있기도 하다.
전주에 장시가 언제 개설됐는지 구체적 기록은 없지만, 성종 원년인 1470년 전남 무안과 나주 등 전라도 여러 고을에서 장시가 개설됐다는 기록이 있어 여기에 전주가 포함됐을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전주는 일찍부터 시전이 개설됐던 지역이며, 시전은 한양과 평양·개성에서만 설치돼 있었다. 특히 숙종때 전주가 대읍의 하나로 꼽히고, 전주에 설치된 여러 시전의 상인활동이 활발하게 전개되고 있었다고 승정원일기가 전하고 있다. 전라감영이 있던 전주는 지방관청으로서는 처음으로 동전을 주조해 유통했으며, 정조때 기록에는 전주가 대도회로서 돈과 온갖 값나가는 물화가 아울러 모였다고 했다.
임원경제지에서는 전주에서 원격지와의 교역도 촉진되어 중국과 일본의 상품이 거래되고, 상인들이 모여들고 온갖 상품이 풍부하여 나라 안에서 거시라고 일컫는다고 기록하고 있다.
장명수 전 전북대 총장은 전주에 처음으로 장시가 개설됐을 때 위치는 전주성내였을 것이며, 구체적으로는 객사 뒤쪽과 남문에서 문으로 가는 L자형 골목부근일 것으로 추측했다. 18세기 후반 전주에 개설된 장시는 모두 11개. 전주성 동서남북문 밖에 개설된 4개 장시는 10일장이었으며, 나머지는 5일장이었다. 남문장과 서문장은 대시였으며, 북문장·동문장은 간시로 규모에 차이가 있었다.
전주를 중심으로 한 시장권은 서쪽으로 김제·금구, 북쪽으로 고산·익산에 이르렀다. 이들 장시는 상호간에 적절한 거리를 유지하면서 개시일이 중복되지 않도록 한 점이 서로 연계됐음을 보여준다.
전주의 4대장 중 동문장은 한약재와 특용작물, 서문장은 소금전, 북문장은 포목으로 특화됐다. 가장 컸던 남문장은 종합시장이었으며, 그중 전주교 주변으로 쌀집들이 많아 '싸전다리'로 불렸고, 매곡교 아래에는 우시장, 건너편 천변에는 솔가지전이 형성됐다.
전주시 중앙동 옛 전주우체국에서 매곡교에 이르는 구간은 매년 약령시가 열리던 곳으로, 일제 강점기 전주의 약령시는 대구에 버금갈 정도였다고 한다.
전주의 정기시장은 일제강점기 때도 지속적으로 열렸고 일부는 상설화되기도 했다. 대부분 지역에서 상설시장은 정기시장을 대체하기보다 정기시장과 별개로 존재하면서 성장했지만 서문장은 1923년 남문장에 흡수됐다. 1928년 객사 앞에 있던 공설시장 남문 옆으로 옮겨졌고, 1935년 전주읍이 전주부로 승격되면서 남문시장을 대대적으로 확장했다.
전주의 간판 시장 역할을 해온 남부시장도 유통시장 개방 등으로 1990년대 중반 이후 침체 일로를 걸었다. 전통시장 상품권 등의 외부 수혈이 이루어지고 있지만 대형마트의 직격탄을 벗어나지 못하는 게 현실이다. 정이 묻어나고 옛 것이 살아있는 전통시장의 특징을 어떻게 살리느냐가 전통시장의 미래를 좌우할 것 같다.
전주장(全州場)이 어떻게 변화해왔는지 전주역사박물관에서 만날 수 있다. 지난 11일부터 열리고 있는 '조선의 3대 시장, 전주장'을 주제로 건 사진전에는 조선말부터 근현대까지의 옛 시장과 상가의 모습을 담은 60여점의 사진을 통해 전주 전통시장을 더듬어 보는 것도 색다른 재미가 될 것 같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