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일 헤드헌팅 전문기업인 유니코써어치에 따르면 올해 매출액 기준 1천대 상장사의 대표이사 직함을 가진 1천271명을 분석한 결과 SKY대 출신 CEO는 502명(39.5%)으로 지난 2007년 조사를 시작한 이래 처음으로 40% 미만으로 떨어졌다.
SKY대 출신 비중은 2007년 59.7%에서 2008년 45.6%, 2010 43.8%, 2011년 41.7%, 2012년 40.5%로 지속적으로 줄어들고 있다. SKY대와 비(非) SKY대 출신 CEO 간 비율이 2007년 6대 4에서 2012년 4대 6으로 역전된 데 이어 다시 3대 7로 바뀌는 중이다.
한상신 유니코써어치 대표는 "과거 재계는 특정 명문대를 중심으로 한 학벌 중심의 CEO 인재 등용이 트렌드의 한 축을 이뤘지만 최근 학벌보다 능력과 성과 위주로 인재를 발탁하는 문화가 정착돼 가는 과정에 있다"고 말했다.
기업체 CEO에 대한 학벌파괴 바람은 임원급은 물론 신입사원을 선발할 때도 직·간접적 영향을 미치게 될 것이라고 한 대표는 덧붙였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