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러한 결과에 대해 한국원자력문화재단은 "획기적인 발전"이라며 "이전까지는 어느 기관에서도 교과서 개정의견을 이렇게 제안해서 개선하였다고 공식적으로 발표한 적이 한 번도 없었다"고 자평했다.
이러한 한국원자력문화재단의 교과서 수정작업은 이미 지난 1996년부터 진행되었던 것으로 밝혀졌다. 김상희 의원실이 발표한 자료에 따르면 1996년 '각급 학교 원자력 관련 수정 반영을 위한 교과과정 개편 추진 기본계획'을 수립해서 오래전부터 교과서의 내용을 수정하기 시작했으며, 2005년부터는 원자력문화재단이 단순한 오류수정이나 의견제시에서 벗어나 직접 '교과서 개정 요구안'을 만들어 교과서의 내용을 원자력발전소에 우호적으로 바꾸는 작업을 적극적으로 수행했던 것으로 드러났다.
원전에 대한 교과서의 수정·왜곡 뿐만이 아니라 한국원자력문화재단이 각급 학교에 직접 배포하는 부교재와 원자력올림피아드대회, 원자력공모전, 원자력홍보관 견학 등 원전에 대한 정부와 한국수력원자력측의 주장이 일반적으로 공급되는 사례는 많다.
이처럼 일방적으로 왜곡·전달되는 원자력발전소의 교과서 내용에 대해 환경운동연합 이지언 팀장은 "정부는 핵발전은 온실가스를 배출하지 않고, 우라늄은 풍부하고 저렴해 경제적이고, 핵발전소는 강진에도 견딜 수 있어 안전하다고 한국원자력문화재단을 통해 계획적이고 지속적으로 홍보하고 있다. 이러한 사실은 국제적인 인식과는 전혀 다른 것이며, 왜곡된 내용이다"라며 문제점을 지적했다. 이지언 팀장은 또 "한국원자력문화재단을 해체하고, 자연친화적인 재생에너지의 확산을 위해 재생에너지 홍보를 주요목적으로 하는 법인을 대신 설립해야 한다"라고 덧붙였다.
한승우 (전북녹색연합 사무국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