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주시의회가 전주영화제 추경 예산을 싹둑 잘라 내년 영화제 개최에 빨간불이 켜졌다. 전주시의회가 지난해 구두로 약속했던 전주영화제 추경 예산 4억 원 중 3억6000만원을 돌연 삭감시켜 내년 15주년을 맞는 전주영화제가 운영에 차질을 빚을 것으로 보인다.
전주영화제 조직위와 전주시가 추경 예산으로 올린 4억 원은 지난해 전주세무서로부터 부가세 법리 해석의 이견으로 빚어진 '세금 폭탄' 3억2000여 만원 중 50%인 1억7000여 만원과 운영비 2억3000여 만원이다.
하지만 시의회 예결위는 24일 비상근 팀장을 상근직으로 전환하는 초과 인건비 4000여 만원을 제외한 JIFF 추경 예산 나머지를 삭감했다. 삭감 이유는 집행부가 예산을 초과해 영화제를 운영했다는 것. 이와 함께 예결위는 집행부에 영화제 세금 폭탄 관련 자료 등을 요구했으나 보고가 제때 이뤄지지 않은 점도 문제 삼았다.
반면 영화제 집행부는 "억울하다"는 입장이다. 올해 전주영화제 예산은 32억7000여 만원으로 예년과 비슷했다. 영화제는 올해 국비 5000만원 삭감을 포함해 세금 폭탄에 관한 이자·협찬 등으로 세입이 줄어 더 빠듯한 여건에서 JIFF를 치렀다. 올해 영화제 평가가 추경 예산 확보에 영향을 미칠 것이라 판단한 집행부는 "예산이 모자란다고 무턱대고 영화제 규모를 줄일 수 없었다"고 설명했다. 또 영화제는 당초 예정된 2월 시의회 감사를 통해 세금 폭탄 등 영화제 전반을 둘러싼 현안을 깔끔하게 정리하고 시작하겠다고 했으나 돌연 감사가 8월, 다시 11월로 연기되면서 관련 문제들에 대해 해명할 기회가 없었다고도 했다.
그럼에도 선성진 시의회 예결위원장은 "세금 폭탄을 맞고 집행부가 대출을 받은 사실과 관련해 제대로 된 업무 보고가 이뤄진 적이 없다. 집행부가 멋대로 영화제를 운영하고 시에 손 벌리는 선례를 만들어선 안 된다"며 목소리를 높였다.
영화제 관계자들은 지난해 집행부가 꾸려지지 않아 프로그래밍에 어려움을 겪었던 전철을 밟지 않으려면 영화제는 하반기부터 본격 가동돼야 한다는 입장이다. 그러나 영화제는 예산 삭감으로 영화 수급을 위한 하반기 작업 등에 어려움을 겪게 될 것으로 예상된다.
황인태 전주영화제 사무처장은 "2억이 줄면 영화제가 반토막 나는 것과 같은 역효과가 나온다. 가뜩이나 부대행사에 대한 요구가 많은데, 결국 줄일 수 있는 예산은 이벤트여서다. 국비 증액도 불투명한 상황에서 내년 15주년을 제대로 준비하려면 추경 예산 확보가 절실하다"며 답답함을 호소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