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영업자 A씨는 지난달 휴대폰으로 최근 이동통신사와 연계해서 나온 저리 대출 상품 관련 문자를 받았다.
급전이 필요했던 A씨는 혹시나 하는 생각에 전화를 걸었다.
전화를 받은 대출상담사는 휴대전화를 개통하면 대출금을 통장으로 넣어주고 개통한 휴대전화는 반납처리해야 한다는 답변을 들었다.
하지만 휴대전화를 반납하고도 약속한 대출금은 들어오지 않았고 대출상담사와의 연락마저 두절됐다.
신종 대출사기가 기승을 부리면서 금융당국과 금융사는 물론 경찰까지 나서 대대적인 단속을 벌이고 있지만 날로 진화하는 사기 수법으로 인해 오히려 신고건수만 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금융감독원에 따르면 지난 3년간 접수된 불법사금융 신고 건수는 1만9000여건에서 9만4000여건으로 5배나 늘었다.
이와 관련 포상금 제도까지 도입했지만 피해 건수는 더욱 늘고 있다.
더욱이 대출금리 인하 및 대출중개 수수료 폐지 등으로 대부업계 수익이 줄면서 등록 대부업체들이 음지로 숨어들면서 불법 대부업체가 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실제 지난 2010년 1만5000여 곳이었던 국내 등록 대부업체 숫자는 지난해 1만1000여 곳으로 줄었다.
금융당국은 돈이 필요한 사람은 많아지고 사기수법은 점점 교묘해지다보니 피해를 보는 사람이 계속 늘고 있다며 새로운 사기수법이 늘면서 단속 또한 어려움이 큰 만큼 휴대전화 등을 통한 대출광고에 현혹되지 말 것을 당부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