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9년부터 관선 이사체제로 운영되온 전북 군산의 서해대학교(군산기독학원)가 새로운 법인 운영자를 선정하는 과정에서 10억원대의 거금을 주고받아 논란이 일고 있다.
서해대학 이사회는 2014년까지 법인을 정상화하기 위하여 새로운 법인 운영자를선정 중인데 이 과정에서 이사회의 한 구성원이 법인 운영 후보자에게 18억원을 받은 사실이 드러났다.
5일 서해대학의 한 관계자에 따르면 지난 6월 28일 열린 서해대학 임시이사회에서 법인 운영자 후보 2명 중 한 명인 A 씨가 이사회의 한 구성원에게 18억원을 건넨사실을 인정했다.
A 씨는 대한예수교장로회 익산노회 소속이자 이 대학 이사인 B 씨에게 헌금 명목으로 개인계좌에 18억원을 입금한 것으로 드러났다.
A 씨는 예금에 '질권 설정'을 해두고 재단 인수에 성공하면 B 이사에게 18억원을 넘겨 주기로 한 것으로 알려졌다.
기독교 재단인 서해대학 이사회는 2009년 11월부터 관선이사 3명, 대한예수교장로회 익산노회 6명, 군산노회 6명 등 모두 15명의 이사로 구성돼 있다.
이사회는 법인 정상화를 위해 '법인 설립 허가조건'인 수익용 기본재산 72억원을 출연할 법인 운영자를 모집하던 중이었다.
이에 따라 실질적인 재단 운영자인 익산노회와 군산노회에서는 각각 한 명씩 후보자를 추천한 상태다.
군산노회의 한 관계자는 "익산노회에서 법인 운영권을 두고 금전 거래를 한 상황이 드러난 만큼 익산노회 측 법인운영 후보자는 자격이 없다"고 주장했다.
이에 대해 돈을 건넨 A 씨는 "순수한 헌금이다.
선교자금으로 내놓은 것이지 법인 운영권을 위해서 한 것은 아니다"고 입장을 밝혔다.
이 같은 정황에도 불구, 대학운영을 관리 감독해야 할 관선이사장과 교육부는개입을 꺼리고 있다.
군산노회의 한 관계자는 "부적격한 후보자에 대해 관선이사와 교육부에 문의했지만 '알아서 해결하라' 식의 답변만 돌아왔다"고 분통을 터뜨렸다.
이사회의 한 관선이사는 "A 씨가 임시이사회에서 돈을 건넨 사실을 밝혔고 B 이사 역시 돈을 받은 사실을 인정했다"고 인정했다.
그러나 그는 "현 관선이사회와는직접적인 연관이 없다고 생각한다.
만약 부적절한 돈이 오갔다면 '사학분쟁 조정위원회'에서 판단하면 된다"고 선을 그었다.
교육부도 군산노회 측에 공문을 보내 '이사회에서 알아서 할 문제'라고 답변한상태다.
군산노회는 지난달 29일 전북지방경찰청에 이 같은 내용을 담은 고발장을 접수했다.
한편, 서해대학교는 2011년 9월 교육부 평가순위 하위 15% 대학으로 선정돼 학자금 대출제한과 각종 정부 재정지원이 중단됐다.
현재 4개 계열 16개 학과를 운영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