朴대통령 이산가족 상봉 제안…이번엔 성사될까

北, 이산가족 상봉 논의에 응할 가능성 커

박근혜 대통령이 15일 제68주년 광복절 경축식축사를 통해 북한에 추석을 전후로 한 이산가족 상봉을 공식 제안함에 따라 그 성사여부가 주목된다.

 

일단 북한은 이번 박 대통령의 제안에 화답해 이산가족 상봉 성사를 위한  논의에는 응할 가능성이 커 보인다.

 

이산가족 상봉은 인도적 차원의 문제로 남북 당국 모두 정치적 부담이 크지  않은 사안인데다 북한이 지난달 이미 이산가족 상봉을 위한 실무접촉을 제안한 적이있기 때문이다.

 

북한은 지난달 10일 제2차 실무회담이 열리는 와중에 판문점 연락채널을 통해이산가족 상봉을 위한 적십자 실무접촉과 금강산 관광 재개 실무회담 개최를 제안했다.

 

남측이 개성공단 실무회담을 이유로 적십자 실무접촉만 수용하자 북측은 두  회담 모두 보류하겠다는 뜻을 밝혔지만, 남북이 14일 개성공단 정상화에 합의했기  때문에 다시 이산가족 상봉 논의가 이뤄질 여건이 마련된 것이다.

 

북한이 그동안 박 대통령을 염두에 둔 '화해 제스처'를 여러 차례 반복했던  점을 고려했을 때 박 대통령의 이번 제안에도 성의를 보일 것이라는 관측도 있다.

 

북한은 박 대통령의 부친인 박정희 전 대통령이 집권했을 때 남북이 합의된 7·4공동성명을 공동으로 기념하자고 제안한 바 있고, 지난 2002년 박 대통령이  유럽-코리아 재단 이사 자격으로 방북했을 때 김정일 국방위원장과 합의했던 대로 지난달에는 북측 댐 방류 계획을 남측에 사전 통보하기도 했다.

 

다만, 북한이 이산가족 상봉을 고리로 금강산 관광 재개나 개성공단 조기  재가동 등 다른 문제를 추가로 들고 나올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

 

이산가족 상봉 회담에는 응하되 금강산 관광 재개를 위한 회담도 함께하자고 다시 제안하거나 개성공단 재가동 시점을 앞당기는 데 활용하려 할 수도 있다는  것이다.

 

이번에 이산가족 상봉이 성사되면 2010년 11월 이후 거의 3년 만에 이뤄지는 것이 된다.

 

이산가족 상봉은 1985년 분단 후 처음으로 이뤄진 이후 2000년부터 18차례의 대면상봉과 7차례의 화상상봉을 통해 남북 양측에서 4천321가족, 2만1천734명이  만났다.

 

2000년부터 2007년까지는 매년 이뤄지다 남북관계 경색으로 2008년에는  성사되지 못했고, 2009년과 2010년 한 차례씩 이뤄진 이후 현재까지 3년 가까이 중단된 상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