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주-완주 통합을 위해 상생 공약으로 내세운 통합시청사 건립계획이 완주군 일대 토지의 가파른 가격 상승과 함께 부동산 투기를 부추겼다는 지적이다.
특히 주민 투표를 통해 통합문제가 결정되기도 전에 신청사 설립 공사를 발주해 건설사를 확정하는 오류를 빚었을 뿐 아니라 이 과정에서 용역비 등 불필요한 예산이 소요됐다.
전주시와 완주군은 올해 초 쌍방 협의를 통해 완주군 용진면 운곡리 904-2번지 일원에 통합 시청사를 짓기로 했다.
총 415억원을 들여 9만6000㎡의 부지에 시청사 7840㎡, 의회청사 4398㎡, 지하 주차장 3000㎡가 들어설 계획이었고 완주군이 부지를, 전주시가 건축비용을 대기로 했다.
이와 관련 지난 4월 사업비 5495만원을 들인 전주-완주 통합시 청사 건립 설계의 경제성 등 검토 용역이 진행됐다.
또 사업비 9387만원을 들인 전주-완주 통합시청사 건립 교통영향분석 개선대책 용역도 이뤄졌으며, 건축 시공사 선정을 위한 입찰도 진행돼 GS건설을 선정하고 공동도급사로 지역업체 (주)창성토건, (유)신영토건을 지정하기도 했다.
그러나 결국 주민투표 결과 통합이 무산됐고 그간 소요된 예산과 절차 등이 모두 물거품이 되고 말았다.
통합 무산 여파는 고스란히 부동산 시장으로 이어졌고 현재 완주군 통합시청사 예정부지 인근 토지는 공시지가보다 무려 50배 이상 오르는 거품현상이 빚어졌으나 현재는 거래조차 이뤄지지 않고 있는 실정이다.
지난 2010년 완주군 신청사가 들어선 완주군 봉동읍 구만리의 일대의 평균 공시지가는 3.3㎡ 당 1만7498원이었다.
그러나 부동산 업계가 도로와 인접한 토지를 대상으로 측정한 실거래 가격은 완주군 구만리 30~50만원, 간중리 20~40만원, 운곡리 20~40만원, 이서면 반교리는 120만원이 책정되는 기현상이 발생했다.
이 과정에서 각종 투기세력이 개입했고 무리한 부동산 투자로 거액을 날린 선의의 피해자가 양산되기도 했다.
또 완주군 일대 지역의 공시지가 상승 효과를 불러 군민들의 재산세 부담 증가도 우려되고 있다.
전주-완주 상생 공약으로 나온 통합시청사·종합스포츠타운 완주군 건립, 전주 송천동 농수산물도매시장 완주군 이전, 대규모 위락단지 조성, 전주·완주 택시사업구역 통합 공동 추진 등의 요인이 땅값 상승을 부추긴 주범으로 꼽히고 있다.
도내 한 공인중개사는 "통합 문제가 결정되기도 전에 통합시청사 입찰이 발주되고 또 예정 부지를 정해놓은 바람에 땅값만 상승됐다"며 "그러나 정작 통합이 무산되면서 부동산 시장은 아예 거래도 없는 살얼음판으로 변해 버렸다"고 토로했다.
전주시 한 관계자는 "다들 통합이 될 것으로 판단하면서 일부 사업이 무리하게 진행된 것 같다"며 "지금은 갈등과 반목을 잠재우는데 전념할 때"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