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여름 전북지역의 날씨를 한마디로 표현하면 '용광로처럼 들끓었다'고 정의 내릴 수 있다.
전북은 올해 폭염특보와 평균기온, 열대야 발생일 수 등 대부분 폭염기록을 모두 갈아 치웠다.
특히 1일부터 22일간 지속한 폭염특보는 역대 최장 기록을 경신했다.
이는 지난 2007년 폭염특보 예보가 시작된 이래 가장 긴 폭염특보 발효 기간이다.
지금까지 최고 기록은 지난해 7월 22일부터 8월 9일까지 19일간이었다.
이 기간에 전주는 8월 7일(37.6도)과 21일(37.8도) 등 두 차례나 전국 최고기온을 기록했다.
평균기온 역시 올해 새롭게 최고기록을 세웠다.
23일 전주기상대에 따르면 올해 여름철(6월∼8월 기준) 평균기온도 26.3도로 1973년 이래 최고치를 기록했던 1994년(26도)보다 0.3도가 높았다.
열대야 발생일 수도 29일로 2위(1994년 19.3일)와 3위(2010년 17.7일)를 압도적으로 제치고 최고의 자리에 이름을 올렸다.
여기에 폭염 기준인 33도가 넘는 폭염일 수 역시 37일로 1994년 기록했던 최장기록인 39일을 이틀 차로 바짝 뒤쫓고 있다.
이틀간 내린 비로 기온이 잠시 떨어졌지만, 막바지 불볕더위가 기승을 부리면폭염일 수 또한 새롭게 기록을 수립할 것으로 보인다.
이 같은 기록적인 폭염으로 인해 축산 농가 피해와 온열질환 환자 발생도 잇따랐다.
전북농협에 따르면 올해 접수된 가축재해보험 피해 건수는 모두 229건으로, 이중 닭과 오리 농가 피해가 90%에 달했다.
현재까지 폐사한 닭과 오리는 모두 41만7천여마리로 정읍과 고창에서만 20여만마리가 폐사했다.
정읍에서 양계장을 운영하는 김모(46)씨는 "낮에는 폭염, 밤에는 열대야가 기승을 부리면서 닭 폐사량이 지난해 두 배 가까이 늘었다"면서 "이제 무더위가 한풀 꺾였지만 피해는 고스란히 남았다"고 하소연했다.
온열질환 환자 역시 지난해보다 50%가량 수가 늘었다.
도 질병관리본부 따르면 이날까지 접수된 온열환자는 모두 78명으로 이 중 두명이 숨졌다.
이는 지난해 52명보다 26명이나 늘어난 수치다.
이 중 열탈진이 38명으로 가장 많았고 열사병 30명, 열경련 9명, 열실신 1명 등으로 조사됐다.
재난안전본부의 한 관계자는 "올해 기록적인 폭염으로 인해 축산 농가 피해와온열환자 발생 건수가 급증했다"면서 "무더위가 완전히 물러가기 전까지는 축산 농가, 노약자나 어린이는 건강관리에 주의해 달라"고 당부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