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산 농축수산물 학교급식 차단

김교육감 간부회의…새 대입제도 대책도 주문

최근 방사능오염 여부로 논란을 빚고 있는 일본산 농축수산물이 전북지역 학교급식재료로 사용되지 못하도록 도교육청 차원의 검증이 까다로워진다.

 

김승환 교육감은 2일 직원조회와 확대간부회의에서 "방사능 오염 우려가 있는 일본산 농축수산물을 학교급식 식재료로 사용되는 일이 있어서는 안된다"며 "일선 학교와 교육청은 유관기관의 협조를 받아 철저히 확인하고 검증하라"고 밝혔다.

 

김승환 교육감은 "2011년 일본 후쿠시마 원전사고 이후 일본산 수산물에 대한 우려가 높아지고 있고, 심지어 후쿠시마로부터 1000㎞ 이상 떨어진 일본 서남부 지역에서 수입된 수산물에서도 방사능이 검출된 것으로 밝혀졌다"면서 이렇게 말했다.

 

김 교육감은 "학교에서는 원산지 표시를 철저히 확인한다 해도 학부모들은 전적으로 신뢰하지 않는다"면서 "원산지 표시에만 의존하지 말고 방사능 오염 여부까지 확인해 학부모와 학생들의 불안감을 해소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한편 김 교육감은 새롭게 바뀌는 대학입시제도가 학교 현장에 혼란을 주고 있다며 대책 마련을 지시했다.

 

김 교육감은 "1969년 예비고사가 도입된 뒤 지금까지 45년간 대학입시제도가 38회나 바뀌었는데, 이는 입시폭력이자 대입정책폭력"이라며 "교육부는 대입전형을 간소화하고 대입제도를 발전시킬 방안이라고 했지만 무늬만 간소화일뿐 학생들의 학습부담 완화에는 전혀 기여하지 못하고 있다"고 주장했다.

 

이와 함께 김 교육감은 최근 국사편찬위의 최종 검정을 통과한 교학사판 역사교과서과 관련해 "언론 보도를 보면 이 교과서는 일본군 위안부 강제동원에 대한 기술을 축소하고 왜곡한 것으로 전해진다"며 "교과서가 입수되는 대로 면밀히 분석하고 논의해 역사왜곡 등의 문제점이 확인되면 도내 학교에 채택되지 못하도록 대응책을 마련하겠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