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근혜 대통령과 여야 대표와의 3자 회담이 16일 국회에서 열렸으나 정국 정상화 필요성에 대한 공감대만 형성했을 뿐 별다른 합의 도출 없이 끝나 경색정국 해소가 어려울 것으로 보인다.
이날 오후 국회 본관 옆 사랑재에서 열린 박근혜 대통령과 여야 지도부 간 '3자 회담'에서는 정국 정상화의 필요성에 대해 서로 공감했으나, 국정원 개혁과 채동욱 검찰총장 사퇴 배경을 둘러싸고 상호 팽팽한 기싸움이 전개되는 등 확연한 입장차만 보였다.
정국 정상화의 분수령으로 여겨졌던 이날 3자회담이 성과 없이 종료됨에 따라 경색된 정국은 추석 연휴를 훌쩍 넘겨 장기화할 우려가 커졌다.
정기국회 정상화도 어려울 전망이다. 박 대통령과 새누리당 황우여, 민주당 김한길 대표는 이날 국회 사랑재에서 예상보다 30분을 넘긴 1시간 30여분 동안 국가정보원 대선개입 의혹, 채동욱 검찰총장 사의표명 논란, 민생 국회 등 국회 정상화 방안 등을 폭넓게 논의했으나 합의점을 찾는데 실패했다.
이날 박 대통령은 국회의장단과 여야 지도부를 만나 30여 분간 러시아·베트남 순방 결과를 설명한 뒤 바로 옆방으로 자리를 옮겨 황우여 새누리당 대표·김한길 민주당 대표와 3자 회담을 시작했다.
박 대통령은 모두발언에서 "어렵게 마련된 자리다. 국민에게 희망을 주는 좋은 결과가 나왔으면 좋겠다"고 운을 뗐지만, 김한길 대표는 "민주주의 회복에 대한 대통령의 확고한 의지를 보여주셔야 한다"며 공방을 시작했다.
박 대통령은 야당이 문제를 제기한 검찰총장 감찰 및 사퇴 문제와 관련, "당연히 해야 할 일을 한 것"이라는 입장을 밝혔다고 민주당 김관영 수석 대변인이 전했다.
김한길 대표는 회담 직후 기자들과 만나 '가시적 성과가 있었느냐'는 질문에 "할 말은 다 했다"면서 "많은 얘기가 오갔지만 정답은 하나도 없었다"고 전했다.
반면, 새누리당 황우여 대표는 "대통령으로서는 진심을 담아 야당이 요구한 이야기에 대해 얘기했으니 좋은 결과가 나올 것으로 기대한다"고 여운을 남겼다.
김한길 민주당 대표는 이날 회담에서 박 대통령에게 국정원 대선개입 의혹에 대한 대국민 사과 등 7대 사항을 요구했다.
7대 요구사항은 국정원의 대선개입 의혹과 관련, △대통령의 대국민 사과 △국정원 사태에 대한 진상규명 및 책임자 처벌 △국내 파트 폐지 등 국회 주도의 국정원 개혁 담보, 그리고 채동욱 검찰총장 사태와 관련해 △사찰정치 책임자 해임 △재판 관여 시도 중단 △경제민주화 및 복지 후퇴 반대 △ 감세정책의 기조 전환 등이다.
박 대통령은 이날 회담에서 민주당의 장외투쟁으로 작동 불능 상태인 국회가 하루빨리 오해와 불신의 짐을 내려놓고 '국민 중심'의 국회로 거듭나야 한다고 여야 대표들에게 간곡히 요청했다.
박 대통령은 김한길 대표 요구에 대해 "국정원 사건이나 검찰총장 사퇴는 청와대와 무관한 일"이란 입장을 일관되게 강조한 것으로 알려졌다. 대통령 사과 문제에 대해서도 서로 공방을 벌였을뿐 공감대는 형성되지 않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