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북지역 자치단체장들이 각종 비리 의혹으로 잇따라 검·경의 수사선상에 오르면서 자치단체에 비상이 걸렸다. 검·경의 수사가 부안·장수·진안군에 이어 순창군으로 확대되고 있기 때문이다.
전주지검은 지난 27일 오전 수사관을 급파해 황숙주 순창군수 집무실과 비서실, 황 군수의 차량과 자택 등을 압수수색했다. 또 황 군수의 휴대전화와 통장도 압수했다.
검찰은 2011년 실시된 10·26 재선거를 앞둔 그해 6월께 예비후보 신분이었던 황 군수의 선거운동을 도왔던 조카 A씨로부터 수억원대의 자금이 황 군수 선거캠프로 흘러들어간 정황을 포착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 같은 내용은 지난해 A씨가 자신이 운영하는 회사 여직원 B씨를 공금횡령 혐의로 검찰에 고소하면서 알려졌다. B씨에 대한 검찰의 조사 과정에서 A씨의 회사 자금이 황 군수 캠프로 흘러들어 갔다는 사실이 파악된 것.
현재 검찰은 압수물 등을 분석하고 있으며, 황 군수에 대해서는 정치자금법 위반 혐의로 조사하고 있다.
앞서 전주지검은 지난 12일 진안군 비서실장의 차명계좌 관리 정황을 포착하고 송영선 진안군수 집무실과 비서실, 비서실장 C씨의 자택 등 3곳을 압수수색했다.
검찰은 진안군 비서실장 C씨가 진안군청 9급 공무원 명의로 된 차명계좌를 관리한 정황을 포착해 수사를 진행해 왔다. 이 계좌에는 7억여원이 들어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검찰은 차명계좌에 들어있는 돈이 '어떻게 조성됐는지'와 '대가성이 있는지' 등을 파악하는데 수사력을 집중하고 있다. 차명계좌 분석과정에서 수억원의 뭉칫돈이 한꺼번에 입금된 사실이 포착된 것으로 알려지고 있어, 이 돈의 출처 및 성격을 파악하는 게 이번 사건의 핵심이 될 것으로 분석되고 있다.
또 검찰은 이 사건과 관련해 송영선 진안군수가 연관됐을 가능성에도 상당한 무게를 두고 있으며, 송 군수의 개인계좌도 추적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이와 함께 장재영 장수군수와 장수군 비서실장 D씨의 뇌물수수 의혹을 수사하고 있는 경찰은 조만간 사건을 마무리 짓고 신병을 확보할 예정이다. 특히 경찰은 장 군수에 대해서는 내부적으로 사법처리하기로 방침을 정한 것으로 알려져 귀추가 주목된다.
경찰에 따르면 장 군수는 군에서 발주한 공사를 다수 수주한 건설업자로부터 수천만원을 받은 혐의를 받고 있으며, 비서실장 D씨는 또 다른 건설업자에게 수천만원의 뇌물을 받은 혐의를 받고 있다.
순창=임남근, 강정원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