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골재 품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석산 허가를 늘리는 길 뿐인데 자치단체들이 꿈쩍도 하지 않네요."
도내 골재 생산량이 한계에 달해 레미콘업계의 한숨이 깊어지고 있는 가운데 석산을 보유한 자치단체에 대한 원망이 높다. 특히 철근과 시멘트 등 원자재 가격이 전체적으로 상승하고 있는 가운데 골재 가격마저 오를 경우 건설비용 증가로 이어질 수밖에 없어 주택가격 상승의 요인이 될 전망이다.
2일 전북레미콘협동조합에 따르면 도내에서 생산되는 모래와 자갈 등의 골재 공급이 한계에 달하면서 도내 레미콘업체들은 경상북도 인근의 골재를 반입, 물류비용이 50% 가까이 상승했다.
특히 이에 따른 공사비 상승은 물론 골재 부족으로 공사기간마저 지연되는 사태가 잇따르고 있어 물량난을 겪고 있는 건설업계의 어려움을 더욱 가중시키고 있다.
도내에서 골재를 생산할 수 있는 지역은 현재 익산 4곳, 남원 3곳, 정읍 3곳, 부안 2곳, 완주 1곳 등 13곳에 그치고 있다.
이곳에서 생산되는 골재로는 전북혁신도시 및 전주만성지구 개발사업에서 필요로 하는 골재 양을 맞출 수 없는 실정이며, 개발이 본격화되고 있는 새만금까지 고려할 때 석산 허가 용량을 늘려야 한다는 게 업계의 주장이다.
현재 도내 골재시장에서 판매되는 모래 가격은 1루베 당 1만7000원으로 지난해 초 1만2000원에 비해 5000원이 올랐다. 결제 방식도 외상이나 어음 거래로는 골재를 살 수 없으며 모든 골재 거래는 현금으로 대금을 선 지급해야 거래가 가능한 상황이다.
현금을 주고도 골재를 구하기가 쉽지 않아 도내 레미콘업체들은 경상도와 충남, 전남 등지에서 직접 골재를 공수하고 있는 형편이다. 그 만큼의 운반비용과 고속도로 이용료가 추가되고 있는 셈이다.
현재 타지에서 들어오는 모래의 경우 1루베 당 가격이 2만~2만1000원 수준으로 도내보다 3000~4000원 비싸지만 도내 레미콘업계는 '울며 겨자 먹기'로 타지 골재를 공수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와 관련 레미콘 및 건설업계에서는 전북도를 포함한 도내 일선 자치단체들의 골재 채취 허가 완화를 호소하고 있다.
실제 전남의 경우 골재를 생산하는 지역은 50곳이 넘지만 골재 품귀를 호소하고 있고 경남지역도 80여 곳에 달하지만 이곳 또한 골재 부족에 시달리고 있다.
도내 건설업계 관계자는 "타 지역의 경우 전북(13곳)에 비해 훨씬 더 많은 골재 생산지역을 갖고 있지만 골재 생산에 어려움을 호소하고 있다"며 "전북의 경우 일일 골재 사용량과 생산량 등의 비중을 따져볼 때 석산 허가 완화가 필요한데도 자치단체들이 내년 지방선거를 염두에 두고 석산 문제를 침묵하고 있다"고 비난했다.
레미콘 업계 한 관계자도 "골재 문제는 전국에서도 전북이 심각한 실정으로 업계 관계자들이 모여 대책 마련을 위한 집회도 벌여봤지만 자치단체들은 콧방귀도 뀌지 않고 있다"며 "매일같이 물가상승 주범을 잡아야 한다고 시책들을 내놓지만 정작 모든 건설 물가 상승의 원인이 되는 골재문제에 있어서는 손을 놓고 있다"고 지적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