속보= 딸의 청첩장 발송을 남발했다는 의혹이 제기됐던 도교육청 인사담당 간부가 '교장·교감의 축의금을 받지 않겠다'고 공언한 것과 관련, 일부 교장·교감들이 직함을 감춘 채 변칙으로 축의금 전달을 시도해 물의를 빚고 있다. 이에 대해 교육계 안팎에서는 왜곡된 품앗이문화에 대한 자성의 목소리가 나오고 있어 관심을 모은다. (9월 30일자 2면 보도)
청첩장 남발 의혹을 받은 장학관 A씨는 딸의 결혼식을 앞두고 논란이 불거지자 교장·교감의 축의금을 받지 않겠다고 공언했었다. 그러자 A씨의 교감연수 동기모임 대표인 B씨가 지난 5일 회원들에게 '결혼식 참석회원은 계좌를 이용하거나 축의금 봉투에 이름만 적어달라'는 내용의 문자를 전송한 것으로 확인됐다. 또 A씨와 관련 있는 다른 모임도 '이름만 기재'방식으로 결혼식 축의금을 전달한 것으로 알려졌다. B씨는 "애경사는 서로 주고 받는 것 아니냐. 본래 회원이 61명인데 이 중 44명에게만 보낸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도교육청 간부인 A씨는 "이와 관련해 오해를 살까봐 은행계좌까지 막았다"면서 "그럼에도 애경사는 결국 다 품앗이일 수밖에 없는 것 아니냐. 일일이 확인하지도 못했고 또 그런 일도 없었을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