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표> 대입제도 현행 / 2015∼2016 / 2017학년도 대비

<표> 대입제도 현행 / 2015∼2016 / 2017학년도 대비

◇대입제도 신구 비교

  현 행 2015ㆍ2016학년도 2017학년도
대입전형 간소화 ㆍ전형 수 과다 ㆍ수시4개, 정시2

개 이내 전형방법

사용

ㆍ좌 동
ㆍ지나치게 높은

수시 수능 최저학

력기준

ㆍ수시 수능 최저

학력기준 완화

ㆍ좌 동
전형 예고시기 ㆍ(대교협) 1년 6

개월 전

ㆍ(대 학) 1년 3

개월 전

ㆍ경과조치 적용 ㆍ(대교협) 2년

6개월 전

ㆍ(대 학) 1년

10개월 전

전형 발표내용 ㆍ충분하지 않은

발표내용 및 발표

후 잦은 변경

ㆍ발표 내용 구체

ㆍ발표 후 변경

제한

ㆍ좌 동
고른기회 입학전

형 확대

ㆍ균형적인 학생

선발 미흡

ㆍ고른기회 입학

전형 활성화

ㆍ입학 학생 다양

성 확대

ㆍ좌 동
학생부 반영 비중

강화

ㆍ수시모집 중심

반영

ㆍ석차 9등급(상

대평가)

ㆍ서술형(비교과)

기록 부풀리기 등

발생

ㆍ수시 및 정시

반영 내실화

ㆍ석차 9등급(상

대평가)

ㆍ서술형 기록 적

정화 및 내실화

ㆍ 좌 동

ㆍ석차 9등급(상

대평가)

※성취평가제 대

입반영은2018학년

도까지 유예

(2019학년도

이후 대입반영은

‘15년에 결정)

ㆍ학생부 성취평

가 신뢰성 확보

지원

수능 개선 ㆍ(국어?수학?영

어) 수준별 수능

ㆍ(한국사) 선택

과목

ㆍ(영어) 수준별

수능 폐지

ㆍ 좌 동

ㆍ(국어ㆍ수학)

수준별 수능 폐지

ㆍ(한국사) 필수

과목

ㆍEBS 70% 연계

출제

ㆍ 좌 동 ㆍ좌 동
대학별 고사 ㆍ고교에서 준비

하기 어려운 문제

출제

ㆍ정보부재로 논

술준비 어려움

ㆍ면접 및 적성검

사로 수험부담 가

ㆍ교육과정 총론

의 ‘일반과목’

수준 이내에서 출

ㆍ논술 문제 및

채점기준 공개

ㆍ문제풀이식 구

술형 면접과 적성

고사 지양

ㆍ좌 동

ㆍ좌 동

ㆍ좌 동

모집시기 ㆍ수시 1,2회차

원서 접수

ㆍ정시모집 가,

나, 다군별 분할

모집

ㆍ수능 11월 첫째

주 실시

ㆍ수시 원서접수

기간 통합

ㆍ정시모집 모집

단위내 군별 분할

모집 폐지 (입학

정원 200명 이상

모집단위는 2개군

까지 분할모집 허

용)

ㆍ수능 11월 둘째

주 실시

ㆍ좌 동

ㆍ정시모집 모집

단위내 군별 분할

모집 폐지

ㆍ수능 11월 셋째

주 실시

대입전형 지원체

ㆍ대학 중심의 대

입전형 관리?운영

ㆍ대학의 협력을

유도하기 위한 기

제 미흡

ㆍ민간업체 원서

접수 대행

ㆍ대학, 고교, 학

부모 등이 참여하

는 대입전형 운영

지원 기구 구성

ㆍ공교육 정상화

기여대학 지원사

업 도입

ㆍ공통원서접수시

스템 구축

ㆍ좌 동

ㆍ좌 동

ㆍ합격자 일괄 발

표 시스템 구축

검토

(자료=교육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