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근혜 대통령은 28일 정홍원 국무총리의 '대국민 담화'형식을 통해 정치 현안에 대한 자신의 입장을 간접적으로 피력했다. 그동안 대통령은'정치는 여야, 청와대는 국정'이라는 원칙을 견지해 왔는데, 이러한 방침에 변화를 주지 않을 것임을 분명히 한 것이다.
박 대통령은 이날 오전으로 예정된 수석비서관 회의를 열지 않고, 주말로 예정된 영국및 유럽 순방에 대한 준비에 집중했다. 하지만, 이날 총리 담화를 통해 향후 정국 운용에 대한 분명한 메시지를 전달했다. 정 총리는 정국 최대 현안인 국정원 댓글사건 문제 등에 대해 "중요한 시기에 아직도 대선 과정에 있었던 국가정보원 댓글과 NLL 관련 의혹 등으로 혼란과 대립이 이어지고 있어 매우 안타까운 심정"이라며 "정부는 국정원 댓글을 포함한 일련의 의혹에 대해 실체와 원인을 정확히 밝힐 것"이라고 말했다.
정 총리는 특히 "정부는 사법부의 판단과 조사결과가 나오는 대로 필요한 조치를 취할 것이며 책임을 물을 것이 있다면 결코 주저하지 않을 것"이라며 "재판과 수사가 진행 중인 이 문제로 더 이상의 혼란이 계속된다면 결코 국민경제에 도움이 되지 않을 것이라는 생각에 이렇게 호소드린다"고 언급했다.
결국 정 총리의 이날 발언을 분석하면, 박 대통령은 향후 사법부의 판단, 또는 최소한 검찰의 최종적인 수사결과가 나오기 전까지는 국가정보원 댓글사건 등에 관해 언급하지 않을 것임을 분명히 했다.
정쟁에서 벗어나 당면한 정기국회 입법 등 당면한 문제에 여야가 매진해 줄것도 당부했다.
정 총리가 이날 담화에서 국회에 계류중인 '외국인투자촉진법안', '관광진흥법안', '크루즈산업 지원법안' '창업지원법안', '소득세법안'과 '주택법안' 등을 열거하며 이들 법안의 입법시 예상되는 투자진작, 일자리 창출, 주택경기 활성화 등 경제효과를 구체적으로 예시한 것은 의미심장하다. 하지만, 이날 대국민 담화에도 불구하고 야당의 반발은 계속될 전망이다.
총리 담화는 박 대통령의 직접적 언급이 아닌데다 야당이 '불공정 대선'과 '대선불복'을 주장하는 상황에서 '정쟁자제와 정치권의 협조'를 당부하는 성격이 짙은 총리의 담화문 정도로는 야당을 달래기 힘들뿐 아니라 오히려 민주당을 자극할 수 있다는 분석이 많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