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진장여객 버스 기사들이 근로조건 개선을 이유로 운행을 전면 중단한 지 이틀이 지났지만, 사측과 노조측은 입장차만 확인하는데 머무르고 있다.
요구사항이 관철되지 않자, 노조 측은 앞으로 10일 동안 진안·무주·장수군청 광장에서 연좌농성 등 투쟁수위를 높여간다는 계획이다.
노조측은 집회 첫날인 6일, 총 조합원 53명이 무진장여객에 집결해 진안군청까지 거리행진한 후 광장에서 띠를 두르고 농성을 갖는 것으로 의지를 표명키로 했다.
반면 사측은 파업 첫날 노조 측에 '업무에 복귀하라'는 공문을 띄우는 등 노동쟁의신청을 하지 않은 불법파업에 강력 대처한다는 방침이다.
이런 상황 속에 진안·무주·장수군청 교통담당들은 돌파구 마련을 위해 5일 오전 진안군청 건설교통과에 모여 노선감축과 관련한 협의를 벌였다.
하지만, 또 다른 주민불편이 생길 수밖에 없음을 들어 결론에 도달하진 못한 것으로 전해졌다.
전주지방노동청 감독관들도 5일 노조 관계자들을 만나 버스기사들의 현업 복귀를 종용하며 발 빠른 중재에 나서고 있다.
그러나 노조측은 요구사항이 관철될 때까지 투쟁한다는 기존 입장을 고수해, 승무거부 성격의 이번 파업은 언제까지 지속될지 모를 상황.
사측도 오는 12월 이뤄질 노선 변경시 운행거리를 400km 가량 감축할 용의는 있지만 더 이상은 양보할 수 없고, 증차와 관련해서도 적자가 누적된 상황 속에 증차를 감당할 여력이 없음을 들어 협상 여지를 남기지 않았다.
이에 따라 쟁점이 됐던 사안들과 관련해 사측과 노조측 모두 물러섬없는 팽팽한 줄다리기만 거듭, 돌파구가 보이지 않고 있다.
중재에 나선 행정도 노선감축은 또 다른 주민불편을 초래하고, 증차 또한 사측의 추가 부담을 들어, 이러지도 저러지도 못하는 형국이다.
한편 파업 직후 무진장지역에 임시로 급파된 17대의 전세버스는 각 터미널에서 면소재지까지밖에 운행이 되질 않아 무진장지역 989개 노선을 소화하는 데는 한계를 보이고 있다.
뿐만 아니라 전세버스를 긴급 투입하는데 소요되는 1일 평균 1300만원가량의 예산도 파업이 장기화 될 경우, 눈덩이처럼 늘어날 것으로 예상된다.
가장 큰 문제는 3개 군지역 주민들의 불편이 언제까지 지속될지 모른다는 점이다.
진안 주천면 이모(85) 할머니는 "운행을 중단한 4일 이후 읍내한번 가보질 못했다"면서 "버스 기사들의 사정을 모르는건 아니지만 이렇게 멀쩡한 발을 묶어 놓을 수 있냐"며 불편한 심기를 드러냈다.
무진장여객의 버스 요금은 11km기준으로 1150원이 기본요금이며, 12km부터 1km가 추가될 때마다 107.84원을 받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