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출예산 중 교직원 등 인건비(728억원)·누리과정(334억원) 부담금 증가로 인해 고정비용 2조 3848억원(93%)을 제외한 가용재원은 1817억원(7%)에 그쳤다.
이는 지난해 가용재원 2471억원(9.9%)에 비하면 651억원이 줄어든 수치로, 사실상 긴축재정이라고 교육청 측은 밝혔다.
전북교육청은 가용재원 중 학생학습준비물(51억원), 현장체험학습비·교복구입비 지원(30억원), 학생안전강화사업(52억원), 영어학습센터 운영(30억원) 등 교육사업비로 1269억원을 배정할 예정이다.
이와 함께 교육환경과 학교급식 시설 개선에 290억원을 사용하며, 나머지 258억원을 예비비·일반시설비·학교시설 유지관리·지역교육청 운영비 등으로 편성했다.
세입예산은 중앙정부 이전수입 2조1993억원, 지방자치단체 이전수입 2266억원, 자체수입 및 이월금 1109억원 등으로 충당한다.
예산안은 도의회 심의를 거쳐 다음달 13일께 최종 확정된다.
강평구 전북교육청 예산과장은 "몇년 째 세입이 늘지 않는 상황에서 지난해 1700억원이던 전북교육청 자체사업비의 1/4(25.4%·431억원)로 줄였음에도 불구하고 누리과정·인건비 증가를 더 이상 감당할 수 없는 상태"라면서 "정부가 조속한 해법을 마련해줘야 한다"고 밝혔다.